1조3천억 필리핀 마닐라 지하철 건설사업...최저가 입찰에도 본 사업은 日에게
산업과학 Construction,Science/해외동향 Global Project2016. 3. 7. 18:47
필리핀 지하철 7호선
대우건설(설계·시공 EPC) + 현대로템(차량) 최저가 입찰
차량 사업자만 달랑 발표
국제입찰 전무후무사례
日, 막강한 자금력으로 8천억 규모 EPC사업 수주할 듯
인프라 '싹쓸이' 분위기
필리핀과 일본의 역사적 유대관계 무시 못해
1월 24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낭보가 들어왔다.
필리핀 마닐라 MRT-7 Line 노선현황 출처 foreclosurephilippines.com
관련기사
http://conpaper.tistory.com/36853
edited by kcontents
국내 철도차량 제작업체 현대로템이 필리핀에서 5300억원에 달하는 지하철 사업 계약을 한 것. 현대로템의 해외 첫 수주 실적이었다.
하지만 이런 낭보에도 국내 기업들과 정부 표정은 썩 밝지 못했다. 1조3000억원 규모에 달하는 전체 발주 프로젝트를 모두 따내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히 철도차량뿐만 아니라 해당 차량이 운행되는 마닐라 내 케손시티 노스 에드사역에서 불라칸주에 있는 산호세델몬테역을 연결하는 신규 노선 건설사업이 함께 걸려 있었다.
지난해 대우건설은 설계·조달·시공(EPC) 사업을 맡고 현대로템은 철도차량을 공급하는 컨소시엄으로 필리핀 정부 민관합작사업(PPP)에 응찰했다. 그런데 필리핀 정부가 설계·조달·시공 사업권은 쏙 빼고 차량공급자만 선정해 발표해버렸다.
몸통은 뺀 채 꼬리만 내놓은 격으로 국제입찰에서 이 같은 사례는 전무후무하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로템과 대우건설이 최저 입찰가를 써낸 것으로 알려지면서 현지에선 국내 업체들 수주가 기정사실화됐는데 막판 일본 로비 때문에 어그러졌다는 분석이 흘러나온다.
대우건설·현대로템 컨소시엄과 맞붙은 상대는 일본 마루베니상사 컨소시엄이었다. 현지에선 대우건설이 최저 가격을 써냈음에도 필리핀 정부가 8000억원에 이르는 EPC 사업권을 일본에 줄 것이라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일본의 치밀한 로비전 때문에 막판 뒤집기가 일어났다는 것이다.
필리핀 인프라스트럭처 시장을 놓고 한국이 맥없이 무너진 것은 이번뿐만이 아니다. 지난해 11월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에 참석했을 때 20억달러(약 2조3000억원) 규모 철도 건설 차관을 제공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덕분에 필리핀 남북을 잇는 총연장 100㎞짜리 철도건설 사업을 따냈다. 한국 정부는 지금까지 필리핀에 대외경제협력기구(EDCF) 차관까지 합쳐 공적개발금 총 8000억원을 지원했다. 일본이 지원한 금액은 한국의 50배에 달한다. 필리핀 연간 대외 공적개발지원금 중 50%를 일본이 차지하고 있을 정도다. 막강한 자금력을 앞세워 필리핀 인프라 시장을 '싹쓸이'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 정부가 필리핀에 거액 차관을 제공한 것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을 발족시킨 중국과 벌이고 있는 아세안 인프라 시장 주도권 다툼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다. 필리핀 인프라 시장을 석권하기 위해 일본 정부는 차관 제공은 물론 군사적 지원도 아끼지 않고 있다. 지난해 중국 난사군도 인공섬 건설과 관련해 필리핀이 영토 분쟁을 벌였을때 일본은 필리핀 정부 요청으로 초계함을 급파하기도 했다.
지난 1월 26일에는 일본 아키히토 일왕 부부가 필리핀과의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해 과거 일본 전쟁범죄에 대해 사과하기도 했다. 당시 현지 언론들은 일제히 1면에 '일본과 필리핀이 60년 역사상 가장 강력한 유대감을 쌓았다'며 대서특필했다.
또 지원인력 면에서 한국은 일본과 상대가 되지 않는다. 사회간접자본(SOC)을 지원하는 한국 수출입은행 마닐라 사무소에는 한국인 소장, 부소장 2명과 현지 채용 인력 2명이 일하고 있다. 반면 일본 수출입은행과 일본국제협력기구(JICA)는 본국에서 온 인력만 12명이 넘고 현지 인력까지 합치면 50명을 훌쩍 뛰어넘는다. 정보력에서 50대4로 힘겨운 싸움을 벌이고 있는 셈이다.
장기 전략도 일본이 훨씬 치밀하다. 일본은 필리핀 정부와 엔 차관 계약을 할 때 소위 '타이드'(프로젝트 물자 조달을 자국 업체로 한정)와 '언타이드'(물자 조달을 정부 선택에 맡김) 조건을 섞어서 하고 있다. 필리핀 정부로선 자국 업체와 생산품을 프로젝트에 활용할 수 있는 언타이드 차관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한국은 철저히 타이드 조건 차관만 제공한다. 가뜩이나 국내 경기가 어려운데 국민 혈세를 국민 이익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정치권의 논리 때문이다.
[마닐라(필리핀) = 이지용 기자]
매일경제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daily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