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고령화 인력난 심화로 인재 쟁탈전 전개

특히 IT 관련 시스템 엔지니어(SE) 

네트워크 엔지니어 구하는 업체 많아 


출처 theregister.co.uk


관련 외신

Lack of Workers Hobbles Japan’s Growth

http://www.wsj.com/articles/lack-of-workers-hobbles-japans-growth-1447635365

edited by kcontents 


   일본 내 인구 고령화로 인력난이 심화되면서 각 기업마다 인재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일본의 유효구인배율이 1배를 넘어서면서 파견사원을 두고 각 기업의 인재 모시기가 한창이다. 


유효구인배율이란 구직자 대비 구인 수 비율로 지난해 12월 유효구인배율은 1.27배였다. 이는 구직자 100명당 127개의 일자리가 있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높은 시급을 내건 구인공고가 잇따르고 있으며 전문 기술자의 경우 시급이 5000엔(약 5만1200원) 수준까지 올라갔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취업 축하금 1만 엔 , 1개월 출근 시 특별수당 지급 등 대기업 구인 사이트에는 구직자를 위한 다양한 특전이 나열되어 있다.

특히 IT 관련 시스템 엔지니어(SE)나 네트워크 엔지니어를 구하는 업체가 많다. 


파견사원의 시급은 통상 교통비를 포함하는 게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교통비를 별도로 지급하는 곳이 늘고 있다. 물론 시급도 이전보다 높아졌다. 


이에 따라 시급이 3000엔인 경우 하루 8시간, 월평균 22일 일하면 월급은 52만8000엔(약 525만원)이 된다.  

여기에 잔업수당까지 지급된다면 정사원 부럽지 않은 파견직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시급이 5000엔인 경우에는 보유 기술은 물론 비즈니스 수준의 영어실력 등 각종 스킬도 갖춰야 한다. 


일본 최대 이직 사이트인 엔 재팬은 "기술력을 가진 인재 중에는 급여 수준이 비슷한 정사원보다는 (회사에) 얽매이지 않는 파견직을 원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현상의 벌어지는 이유는 IT업체들의 시스템 개발과 제조업체들의 기술, 제품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IT 업계에서는 최근 마이넘버 제도의 도입과 함께 사물인터넷(IoT) 관련 시스템 개발이 급증해 프로그래머와 SE를 찾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마이넘버 제도는 주민번호와 비슷한 개인 식별 번호를 부여하는 제도로 올해 상반기부터 본격 도입된다.  

실적이 개선되고 있는 자동차 업체 등을 중심으로 전기, 기계 계통 인재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일본 내 기술자가 부족하다는 증거는 여러 데이터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일본 최대 구인정보 사이트 리쿠르트 잡스에 따르면 2015년 12월 IT, 기술직 파견사원 모집 시 평균시급은 2027엔(약 2만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3% 올랐으며, 2년 전에 비하면 무려 7.2% 상승했다. SE(2414 엔)은 전년동월 대비 4.1% 상승했다.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구직자 1명당 정사원 구인 건수가 몇 건인지를 나타내는 유효구인배율은 2015년 11월 IT엔지니어 등의 정보처리·통신기술자가 2.23배, 개발기술자가 1.95배 등으로 집계됐다. 


정사원 기술자 전문 전직 사이트인 메이테크넥스트에 게재되는 구인 공고는 2015년 10월 1만건을 돌파했다. 이는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보다 4배 많은 수치다.


메이테크넥스트 관계자는 "프로젝트 내용에 따라 연령 조건을 완화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채용 연령도 조금씩 상승하고 있다"고 말했다.


바로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인재 채용이 어려운 이상, 시간이 걸리더라도 신규 졸업자를 채용해 육성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지만 현실적으로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각 기업들이 채용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오는 3월 졸업을 앞둔 대학생의 취업 내정률(2015년 12월1일 기준)은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이미 회복됐다.  


한 명이 여러 곳에 내정되다보니 채용을 돌연 취소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때문에 채용에 고전하는 기업도 속출하고 있다.  

특히 IT업계는 노동환경에 대한 우려로 학생들이 좀처럼 지원하지 않고 있다.


도쿄 소재의 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인사담당자는 "2015년 여름에 5명을 내정했으나 전원 퇴직했다. 예년보다 훨씬 힘든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중소 기업의 경우, 지명도가 낮으면 지원하지 않고 '야근이나 잔업이 많다'는 이미지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규직으로 고용하는 기술자를 기업에 파견하는 파견업체들의 고민도 많다. 


한 대기업 담당자는 "기술 관련 전공자는 대부분 제조사를 지원한다. 내정이 되더라도 '파견'이라는 인식 때문에 부모가 반대하고 입사를 거부하는 경우가 있다"고 밝혔다.


금융위기 직후의 고용 중단, 해고 등에 대한 인상이 강하게 남아 있어 일반 파견직과 동일시되고 있다는 의견이다. 

하지만 일본 사회의 인력 부족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될 예정이어서 기업들의 고민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글로벌이코노믹] 조은주 기자 ejcho@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daily construction news

conpape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