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정부, 일본에 '위안부' 공식 사죄 요구 'Comfort women': Taiwan tells Japan to extend compensation

카테고리 없음|2015. 12. 31. 15:05

2천 여명 여성들, 일본군 성노예 착출

생존 여성은 4명


출처 sputniknews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대만 정부가 일본에 역사적 사실을 바로잡아 줄 것을 촉구했다. 


12월 29일 마인주 대만 총통이 2차 세계대전 일본군의 희생량으로 전락한 대만 여성들에게 사죄와 보상을 일본 정부에 요구했다. 전날 서울에서 윤병세 한국 외교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이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역사적 협상을 타결했다고 성명했다.


일본은 처음으로 한국에 위안부 문제에 깊은 책임감을 인정하며 공식사과했다. 이전에도 일본 관료들의 사과가 있었지만, 법적 책임이 수반되지 않았다. 이제 대만도 도쿄측에 유사한 책임을 지어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대만여성원조재단 자료에 의하면 2차 대전 당시 대만에서 2천 여명이 넘는 여성들이 일본군의 성노예로 착출됐다. 이중 현재 생존하는 여성은 4명으로 조사됐다. 1998년 9명의 여성이 일본 정부에 사죄, 보상 소송을 제기했으나, 2005년 법정에서 기각됐다.


일본은 또 같은 일로 희생된 중국 여성들의 소송도 기각했다. 약 20만 여명의 중국, 한국 여성들이 2차 대전 당시 일본군의 성노예로 강제 동원됐다. 


한달 전 89세 중국 여성이 생을 마감했다. 다른 수백 여명의 중국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일본 정부로부터 사죄도 보상도 받지 못한 채 눈을 감았다.

중국 신화통신은 서울, 도쿄간 협상 내용과 관련해 만일 일본이 진정 사죄의 마음이 일었다면 사죄는 물론, 희생자 전원에게 보상을 제안해야 한다고 논평했다. 국가적 배상 차원을 넘어서 현존하는 여성뿐 아니라, 생을 마감한 이들에게 보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일본과 한국의 협상이 일본 스스로의 선택이 아닌 미국의 압력에 이끌려 결정한 정치적 선택이었다고 분석한다. 형식적으로 위안부 문제가 해결된 듯 하지만, 정치적 수준에 머무를 뿐이라고 꼬집었다. 실질적으로 이번 협상에서 여론이 무시되었다는 평가는 다시 말해 앞으로도 이 문제가 양국가 관계에 있어 지속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사실 한국 여성들만 2차 대전의 끔찍한 희생자는 아니다. 한 국가하고의 협상 타결이 위안부 전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이 문제는 중국, 대만을 포함해 아시아 전체지역이 치러내야할 아픈 역사다.

sputniknews


Comfort women': Taiwan tells Japan to extend compensation


Taiwan's former wartime sex slaves say Japan must help 

them too 


Japan must apologise and compensate Taiwanese women used as wartime sex slaves, the island's government says.


President Ma Ying-jeou demanded Japan "return justice and dignity to them".


The call came a day after Japan and South Korea reached a landmark deal on the issue of "comfort women".


Estimates suggest up to 200,000 women were sex slaves for Japanese soldiers during WW2. Many were Korean - but others came from China, the Philippines, Indonesia and Taiwan.


Taiwan's government says it wants immediate negotiations with Japan on the issue.


"We hope the Japanese government can do better and take better care of the comfort women's welfare and dignity. Our stance has not changed," President Ma told reporters.


Media captionLee Ok Seon: "I was forced to have sex with many men each day"

 

China's foreign ministry said Japan must "accurately face up to its history of aggression".


"As for whether Japan can do it, if its words and actions are consistent from start to finish, we will wait and see," spokesman Lu Kang said, Reuters reports.


A commentary in the state-run Global Times said families of Chinese "comfort women" wanted a similar apology from Japan after the deal with South Korean victims. 


"I am very angry and upset, so are many other relatives. If Japan apologises to the victims in South Korea, why don't they apologise to Chinese victims?" asked Zhou Guiying, whose late mother, Guo Xicui, was used as a sex slave. 


Just 23 "comfort women" remained alive in China as of August 2014, the paper reported. Only four are thought to remain in Taiwan.


The head of a group of Filipino victims of sexual abuse by Japanese soldiers during WW2 welcomed the deal with South Korea.


But Rechilda Extremadura told Kyodo News that former "comfort women" in her country should be compensated too.


"The Philippine government has completely neglected the issue of Japanese wartime sex slaves. That is why justice remains elusive for these aging victims," she said.

http://www.bbc.com/news/world-asia-35193432




케이콘텐츠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