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2호선 건설방식 '2가지 압축'...저심도+반지하 방식 유력
임기내 착공·안전성·노선 유지
1·2단계 아예 구별해 건설 대안도 검토
광주 2호선 건설방식으로 유력시 되고 있는 저심도+반지하 방식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건설방식을 놓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광주도시철도 2호선 건설방식이 2가지로 압축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1일 전 직원을 상대로 한 공감회의에서 도시철도 2호선 건설에 대한 3대 원칙을 밝혔다 우선 임기 내 반드시 착공하고 시민의 안전과 경제성을 최우선으로 하며 현재 노선을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윤 시장의 언급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면 최근 도시철도건설본부가 제시한 5가지 대안 중 최소한 3가지는 제외된다. 5가지 대안은 ▲저심도+노면(4.2km)의 원안 ▲저심도 방식에 반지하(9.5km)+노면(4.2km) ▲1단계(19.86km) 구간은 저심도, 2.3단계(22.04km) 구간은 노면으로 분리 건설방안 ▲전 구간 노면(트램형) ▲모노레일 중심형 등이다. 원안은 예상사업비가 2조4천370억원을 예비타당성을 다시 받아야 하는 기준을 넘어섰다. 원안 채택이 불가능한 이유다. 트램으로 불리는 노면전차와 지상고가의 모노레일 방식은 사업비가 각 1조9천200억원과 1조4천910억원으로 예상됐지만 이는 기본설계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 만큼 민선 6기가 끝나는 2018년 상반기 착공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저심도 방식의 기본설계에 이미 수십억원을 사용한 상황이기도 하다. 결국 '광주형 건설방식'으로 불리는 저심도를 기본으로 일부 구간을 반지하·노면으로 까는 방식과 1·2단계를 아예 구별해 건설하는 대안 중 선택될 수 밖에 없다. 광주시는 저심도 방식의 가장 큰 걸림돌인 안전성 문제는 이미 유럽국가 등의 건설 실태 등에서 큰 문제가 없음을 확인한 바 있다. 또한 도시순환을 기본으로 한 현행 노선 유지도 10년에 걸쳐 결정된 만큼 다시 조정하기에도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현 노선을 유지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광주시는 사실상 저심도에 일부 구간을 노면으로 올리는 방안을 가장 유력하게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대안인 1,2단계 분리건설 방식은 도시철도 건설 발목을 잡고 있는 푸른길 훼손 논란을 피해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채택될 가능성도 있다. 이에따라 광주시가 한달 안에 시의회와 전문가 의견 수렴, 공청회 개최 등을 통해 건설방식을 정하겠다는 계획은 요식행위에 그칠 가능성이 커 보인다. 경제성 용역(VE)와 전담팀 구성 등을 통해 이미 광주형 건설방식을 대안으로 결정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또 공청회 과정에서 제기된 다양한 의견 수렴과 논란을 이유로 도시철도 2호선 건설이 한발 짝도 나가지도 못하고 발목이 잡힐 수 있다는 우려도 내놓고 있다. 윤 시장은 이날 회의에서 "임기내 착공은 확고한 신념이다"며 안전과 경제성 최우선, 현재 노선 유지 등 3가지 원칙을 천명했다. (광주=연합뉴스) 송형일 기자 nicepen@yna.co.kr |
케이콘텐츠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