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이상 '공공건축물', "에너지 소비량 공개해야"

연면적 3천㎡ 이상

문화ㆍ운수ㆍ의료 등 6개 유형 2,409동 대상

녹색건축물 활성화 유도


부산국토관리청 


공공건축물 연간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 소비량(단위 : kWh/㎡·년)

* 괄호 :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출처 국토부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에너지 소비가 집중되는 연면적 3천㎡ 이상, 사용승인 후 10년이 경과된 6개 유형(문화 및 집회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수련시설, 업무시설)의 공공건축물* 2,409동의 에너지 소비량을 공개**한다. 또한, 성능 개선이 필요한 에너지 다소비 노후 공공건축물에 대해서는 ‘에너지효율 및 성능 개선’을 추진한다. 

*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국공립대학, 국공립병원 소유 또는 관리

** 건축물의 지역, 용도, 면적별로 구분하여 그린투게더(국토부 건축물 에너지 포털greentogether.go.kr), 건물에너지 정보공개시스템(open.greentogether.go.kr), 한국시설안전공단(kistec.or.kr)에 공개 


이는 건물 부문의 국가 온실가스를 감축('2020년 BAU* 대비 26.9% 감축)함으로써 국정과제인 기후변화 대응을 적극 추진하고 녹색건축물 조성 활성화와 민간 부문으로의 확산을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 BAU(Business As Usual)란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치로, 온실가스 감축조치를 하지 않았을 경우에 배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온실가스의 총량 


에너지 소비량 공개는 매분기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공공건축물의 과거 3년간 사용 에너지를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로 환산*하여 공개함으로써 에너지 사용 현황 파악을 용이하게 하였다. 

*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전력, 가스, 경유 등 2차 에너지를 상호 비교하기 위해 채취, 가공, 운송, 변환 등에서 손실되는 에너지를 포함한 1차 에너지로 환산하여 사용 


또한, 연간 에너지소비량이 상위 50% 이내인 건축물을 선별하여 에너지성능이 미흡한 노후 건축물에 대해서는 성능개선을 요구하여 녹색건축물로 전환을 유도할 계획이다. 


성능개선을 요구받은 건축물은 현황조사 및 사업계획 검토, 시공관리 등의 기술 지원을 통해 에너지성능을 30% 이상 개선하는 녹색건축물로 전환을 하여야 한다. 


공공건축물 에너지 소비량의 주요 통계를 살펴보면 공공건축물의 연간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 소비량은 ‘13년이 705.9kWh/㎡ㆍ년, ’14년이 672.2kWh/㎡ㆍ년으로, ’14년 평균 소비량은 ’13년 대비 4.77%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에너지 소비량은 3개년간(2012년 4/4분기에서부터 2015년 3/4분기)의 에너지 소비량을 보고받아 연간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 소비량으로 환산한 값임 


세부 용도별로 에너지 소비량(‘14년 기준)을 살펴보면, 24시간 운영을 하는 공항 등 운수시설 (1,446.5kWh/㎡ㆍ년)과 대학병원 등 의료시설(789.2kWh/㎡ㆍ년)이 에너지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련시설(265.9kWh/㎡ㆍ년)이 에너지를 가장 적게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기별 평균 에너지 소비량(‘14년 기준)을 살펴보면, 1분기(1월~3월)의 소비량(193.7kWh/㎡ㆍ년)이 가장 높고, 2분기(4월~6월) 소비량(141.6kWh/㎡ㆍ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에너지 소비량 분포는 200kWh/㎡ㆍ년 ~ 300kWh/㎡ㆍ년의 구간이 전체의 25.4%(611동)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간별로 살펴보면 200kWh/㎡ㆍ년 미만의 구간에 해당하는 건축물은 전체의 22.0%(529동)로 나타났다. 


공공건축물 에너지 소비량 정보의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10년 이상 경과된 노후 공공건축물임에도 에너지소비량이 감소하고 있는 것은 에너지 효율화 및 절약 정책*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14년 평균 소비량은 ’13년 대비 4.77%가 감소 

*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실내온도준수, 고효율기자재 의무사용,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등 


둘째, 지금까지는 공공기관별 건축물의 전체 에너지 소비량만이 공개되어 왔으나 이번에 처음 동별 에너지 소비량이 공개되어 건축물 특성별 에너지 소비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고, 지역별 건축물의 에너지총량과 녹색건축물 조성 활성화를 위한 제도 및 정책 개발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제도 시행으로 공공건축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고 밝히며, “매 분기별 에너지 소비량 정보가 지속적으로 축적되면 좀 더 다양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에너지 성능개선 사업 추진으로 공공건축물이 녹색건축물 조성을 선도하여 민간으로 확산되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붙임 : 공공건축물 에너지 소비량 공개 및 성능개선 사업 개요

 

* 상기에 제시된 공공건축물 에너지 소비량 통계는 에너지 소비량 추가 및 보완요청 등의 반영 여부에 따라 기존 보도 자료와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국토부





케이콘텐츠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