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2020년까지 '동해안 해양레포츠체험벨트' 조성
960억 원 투입
동해안 5곳에 ‘해양레포츠 거점개발’ 등 추진
신동해안 해양레포츠체험벨트 조성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출처 브릿지경제
해양레포츠체험벨트 조성계획
출처 경북매일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경상북도는 2020년까지 960억 원을 들여 동해안에 해양레포츠체험벨트를 조성한다. 이와 관련, 도는 10일 포항테크노파크 회의실에서 해양수산부와 동해안 5개 시·군 관계 공무원, 대구경북연구원, (사)한국연안협회 연안전략연구소, 대학교수 등의 외부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신동해안 해양레포츠체험벨트 조성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이날 참석자들은 경북 동해안이 해양레포츠의 황금연안(Gold Coast)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신동해안 해양레포츠체험벨트 조성에 대한 마스트플랜을 확정·발표했다. 신동해안 해양레포츠체험벨트 조성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이번 최종보고회에서는 신동해안 해양레포츠체험벨트 조성을 위한 비전(이상)과 목표, 8대 기능, 5대 추진전략과 전략별 세부사업 18여 개가 제시됐다. 5대 추진전략은 사계절형 해양레포츠 거점개발, 체류형 해양레포츠 인프라 확충, 요트체험 마리나 네트워크 구축, 해양레포츠 관광상품 개발과 명품화, 해양레포츠 연계·지원 시스템 구축 등이다. 이는 지난 9월 중간보고회에서 제시된 다양한 의견을 경북도와 동해안 5개 시·군이 여러 차례 걸친 협의와 관계 전문가의 자문 등을 거쳐 수정·보완된 것이다.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정부 국정과제와 제2차 해양관광진흥기본계획(2014~2023년)을 연계한 해양레포츠체험벨트 조성은 향후 동해안의 광역 접근성 향상과 맞물려 지역에 미치는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12년 기준 경북관광객 10,569만 명 중 43.1% 인 4,587만 명이 동해안을 방문했고, 내륙지역을 제외한 해양관광객이 1,847만 명으로 이 중 해양레저관련 체험 장소를 방문한 관광객이 861만 명(46.6%)으로 파악돼 정책추진의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경북도는 신동해안 해양레포츠체험벨트의 성공적인 조성을 위해 우선, 사계절 관광객 유치를 위해 동해안 5곳에 ‘해양레포츠 거점개발’을 추진한다. 동해 남부지역의 해양레포츠 컨트롤타워(가온머리)인 포항해양레포츠센터를 설립하고, 2008년에 개장한 영덕해양레포츠센터는 리노베이션(개·보수) 한다. 또 동해 해양문화체험을 위한 감포 해양역사문화관을 건립하고, 울진 오산에는 해중레저체험(스킨스쿠버), 울릉 통구미에는 해상레저체험을 위한 전용공간이 마련된다. 아울러 관광객이 체류하면서 보다 쉽게 해양레포츠를 체험할 수 있는 인프라도 확충된다. 명소마을 4곳과 동호인을 위한 슬립웨이(Slip Way) 5곳, 해중레저 경관공원 2곳, 해수욕장 복합레저공간 5곳 등이 조성된다. 이와 함께 요트체험 위주의 마리나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국가 마리나항만 기본계획 수정계획(2015. 5)에서 예정구역으로 선정된 후포항, 두호항, 양포항, 감포항, 강구항과 함께 울릉 저동항의 어촌마리나역(驛)이 조기에 개발될 수 있도록 추진한다. 이밖에도 국제 해양레포츠대회와 다양한 지역행사를 개최하고, 해양레포츠를 활용한 관광 상품 개발을 위해 마리나항만 등 해양레포츠거점과 선박 등 해양자원, 포항불꽃축제 등 내륙의 관광자원과의 연계를 추진한다. 경북도 이상욱 동해안발전본부장은 “신동해안 해양관광시대를 이끌어 갈 밑그림이 지난해 등대관광벨트에 이어 올해는 해양레포츠체험벨트가 그려졌다”며 “앞으로는 기존의 해수욕장 중심에서 벗어나 해양레포츠체험을 위한 관광객 유치에 정책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더 나아가 경북 동해안 발전의 핵심콘텐츠로 시군과 함께 해양레포츠를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북 동해안에는 5개의 마리나항만 예정구역과 2개의 어촌마리나역이 지정돼 있으며, 해양레포츠센터 2곳, 바다낚시공원 3곳, 레저선박 계류장 2곳 등 다양한 해양레포츠체험 활동을 위한 기반시설이 설치·운영되고 있다. 2013년 국가지원 거점형 마리나항만으로 지정돼 설계 중인 울진 후포항이 2019년에 완공되면 명실 공히 환동해권 국제 요트 중심 기착지로서 역할을 담당하게 될 전망이다. 자세한 문의는 경상북도 동해안발전정책과(053-950-3913)로 하면 된다. 경상북도 케이콘텐츠 kcontents |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