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역 '육상 풍력발전단지 사업' 줄줄이 중단

진안·장수군 특수목적법인 청산 절차 돌입 

사업성 미미·주민 반대로 군산·고창만 추진


[참고자료] 경북  영덕군 영덕읍 창포리 3만3000㎡에 조성된 풍력발전단지 전경 출처 에너지경제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전북도가 성장동력산업으로 야심에 차게 추진한 ‘육상 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이 바람도 일으키지 못한 채 줄줄이 중단되는 형국이다.


사업 초기 ‘풍력발전의 메카’로 만들겠다는 거창한 구호를 내걸었지만, 미미한 사업성과 주민 반대 등에 부딪히면서 결국 용두사미로 끝나고 말았다.


대규모 풍력단지를 조성하면서 사전 주민 의견 수렴이나 환경성, 경제성 평가 등을 배제한 채 출발한 결과라는 질타의 목소리가 나온다.


1일 전북도 등에 따르면 현재 추진 중인 육상 풍력단지는 군산시 산업단지와 고창군 상하면 등 2개 시·군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9월 군산시 산업단지 내에 7㎿ 규모의 풍력단지를 조성한다는 내용으로 산업통상자원부의 발전사업 허가를 받은 뒤, 올해 5월 풍력발전기 공사에 착공했다.


고창군 상하면 육상 풍력단지의 경우 20㎿ 규모의 풍력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해 이달께 산자부에 발전사업 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군산시와 고창군을 제외한 나머지 6개 시·군은 사실상 사업이 중단된 상태다. 진안·장수군 육상 풍력단지의 경우 진안군 백운면에 30㎿ 용량의 풍력발전기를 세우기 위해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했으나 현재 SPC 청산 절차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무주군 적상면 육상 풍력단지도 올해까지 다른 사업지를 물색할지 SPC를 청산할지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2년 무주군 무풍면 일대 육상 풍력단지 건설이 주민 반발과 산림청의 국유림 사용 협의 불가 통보로 무산된 이후 나머지 시·군도 사업성이 미미하다는 결론에 도달해 현재 사업이 중단된 실정이다.


앞서 전북도 및 8개 시·군은 지난 2010년 1월 현대중공업·한국남부발전·(주)케이아이씨·(주)디엔아이코퍼레이션 등 4개 풍력 관련 업체와 육상 풍력발전단지 조성을 위한 MOU를 맺었다.


4개 참여 기업은 SPC를 구성해 정읍시와 남원시, 완주군, 무주군, 진안군,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 등 8개 시·군 후보지에 총 200㎿ 규모의 육상 풍력단지를 건설할 계획이었다.


전북도는 이로 인해 2012년까지 900명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5000억원의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전북일보 문민주  |  moonming@jjan.kr 


케이콘텐츠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