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다대포 해양관광단지' 조성계획 장기 표류 무산 우려

지난해 사업성 조사 결과 

부지 보상비 커 수익성 불투명 

부산시, 장기발전계획 전환 

"사실상 무산 수순" 우려도


부산 사하구 '다대포 해양관광단지' 조성 계획이 장기간 표류하면서 무산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사진은 다대포항 전경. 부산일보 DB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서부산권 대형 개발 프로젝트의 하나로 기대를 모았던 부산 사하구 '다대포 해양관광단지' 조성 계획이 장기간 표류하면서 무산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부산시는 2025년까지 완공 예정이었던 다대포 해양관광단지 조성 사업을 장기발전계획으로 전환했다고 1일 밝혔다. 장기발전계획 전환은 사업의 수익성이 불투명해져 현재 상황에서 즉각적인 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판단을 내렸기 때문이다.


또 시는 2013년 5월부터 시비 4억여 원을 들여 해양관광단지 조성을 전제로 한 '다대포 종합개발계획' 용역을 진행했지만, 이마저도 지난해 7월 중단했다. 해양관광단지 조성 사업 자체가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시는 대신 남은 용역비로 다대쓰레기소각장 활용방안 및 중저가 호텔 건립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변경 타당성 검토 용역 등을 진행 중이다. 


2011년 사업 발표 당시 시는 다대포 일대 70여만㎡를 해양레저스포츠·복합해양도시·마리나 등 6개 지구로 나뉘어 복합관광단지로 만들 계획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초 시와 부산도시공사가 사업성 조사를 벌인 결과, 민간 부지에 대한 보상비가 막대해 최소 5천억 원 이상의 재정 손실이 발생하는 등 사업성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후 관련 사업은 추진력을 잃었고, 마땅한 돌파구도 나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건설 업계에서는 다대포 해양관광단지 사업이 무산 수순을 밟고 있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 팽배하다.


부산시 관계자는 "다대포 지역은 도시개발사업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될 수밖에 없는데, 관이 주도적으로 나서기 어렵다. 일대 부동산을 가진 민간 기업이 나서야 겠지만 현실적으로 이 역시 쉽지 않다"고 말했다. 


기대가 컸던 사업인 만큼 장기 표류에 따른 지역 내 상당한 파장도 예상된다. 개발 계획 발표 소식은 크게 알려져 있지만, 수익성 저하에 따른 종합개발계획 용역 중단 등의 소식 등은 아직 퍼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하구 모 부동산 관계자는 "지금도 관광단지 개발 효과를 물어보는 투자자들이 꽤 있고, 사업 착수를 기정사실로 아는 이도 많다"며 "행정 기관에서 사업 미래에 대해 뚜렷한 입장을 내주면 혼선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다대포 해양관광단지 사업은 다대포 일대 70여만㎡를 △인공비치지구 △해양레저스포츠지구 △마리나지구 △시푸드지구 △해양문화지구 △복합해양도시지구로 나눠 2025년까지 종합해양관광단지로 개발한다는 계획으로, 서부산권 대형 개발 프로젝트 중 하나로 꼽혔다.

부산일보 김백상·황석하 기자 k103@busan.com 


케이콘텐츠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