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광역 기반시설' 건설계획 확정
새만금위원회 심의 완료
새만금 광역도로망 건설계획
출처 새만금개발청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새만금개발청(청장 이병국)은 10월 22일 제15차 새만금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의 심의를 거쳐 “새만금 광역기반시설 설치계획”을 확정하였다고 밝혔다. “새만금 광역기반시설 설치계획”은 지난해 9월 확정된 “새만금 기본계획”에 따라 새만금 사업지역의 토지용도 상호간 또는 새만금 사업지역과 그 밖의 지역을 연계하는 도로, 철도, 항만, 수도 등 광역단위의 기반시설 관련 내용을 구체화하고 보완한 것으로,
내부 용지의 개발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본방향과 틀을 마련하여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핵심 기반시설 계획을 제시함으로써 내부 개발을 촉진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용지조성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분야별 주요내용 】 (도로) 새만금 사업지역의 접근성을 개선하고 사업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광역도로는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등 6개 노선을 반영하고 내부간선도로는 주간선 6개 노선(153.6km)과 보조간선 7개 노선(69.7km)으로 계획
큰 틀에서는 “새만금 기본계획”에서 제시한 교통축은 따르되 내부용지의 접근성을 개선하고 주거지역 통과에 따른 민원발생이 우려되는 지역의 노선은 일부 조정
(신 교통·수상교통) 새만금의 상징성, 공간구조, 대중교통 접근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신(新)교통 시스템은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연장 46km)로 계획하였으나, 향후 타당성조사 시 보다 면밀하게 검토하여 최종 선정할 예정
도로위주의 교통체계를 보완하고 새만금의 광활한 수(水) 공간을 활용하는 수상교통은 새만금 내부 호수와 외해(外海)를 연계하는 노선과 더불어 수상터미널 5개소와 선착장 6개소를 설치
(항만) 새만금 지역의 물동량을 신속히 처리하고 해양관광의 거점 역할을 수행할 항만은 “새만금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단계별 개발계획*을 반영하되 일부 부두는 조기 개발하여 크루즈 부두로도 활용 가능하도록 추진 * 2020년까지 부두 4선석, 2030년까지 부두 18선석 건설
(철도) 군장산단 인입철도, 장항선, 호남선, 전라선 등 새만금 인근의 철도와 연계하는 46.7km 복선전철과 항만화물 전용 역을 포함한 총 4개소의 정거장 계획
이를 토대로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수립 시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사업을 추진
(하천·방재) “새만금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200년 빈도의 홍수위를 세부적으로 검토하여 치수안정성을 확보하고, 하천·방재 계획의 지침을 제시
(상수도) 새만금 외부의 광역상수도 계획과 연계하여 장래 수요 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안정적인 용수 공급이 가능하도록 섬진강광역권 이용 등으로 용수원을 다원화
또한, 공급수량과 경제성 및 부지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새만금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배수지의 위치와 규모를 조정하고 총 3개소의 배수지를 중심으로 구역을 나누어 용수를 공급
(하수도) 새만금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생활오수 및 공장폐수는 지역 내 6개소의 하수처리시설에서 처리
다만, 현재 조성중인 새만금산업단지의 오·폐수는 군산산업단지 내 폐수처리장에서 연계처리 (에너지) 가스공급시설 4개소, 집단에너지시설 3개소, 변전소 20개소를 설치하여 새만금지역 에너지 수요를 대처
(공동구) 도시경관을 개선하고 도로 굴착에 따른 주민 불편 최소화 등 쾌적한 도시환경 구축을 위한 공동구는 용지개발을 위한 유지관리비 및 조성원가 등을 고려하여 사업시행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고밀도 이용지역을 중심으로 대안노선(20.15km) 제시
(공공시설) “새만금 기본계획”에서 제시되지 않은 장사(葬事)시설의 입지를 선정하고 문화컨벤션센터와 청소년수련시설의 규모와 입지를 제시
(공원·녹지) 새만금의 수변 공간 및 주변 시·군의 녹지축과 연계하고 환경생태용지를 활용한 공원·녹지 조성계획을 마련
(폐기물처리) 공간 이용의 효율성, 기술적 타당성, 경제성 등을 검토하여 총 3개소의 폐기물 처리시설을 설치
MBT*+SRF**시스템을 도입하여 처리된 폐기물은 열 공급 연료로 활용하고 처리 시 발생되는 침출수는 하수처리장에서 연계처리 * MBT(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 : 폐기물 전처리 시설 ** SRF(Solid Refuse Fuel) : 고형연료제품 이병국 새만금개발청장은 “이번 새만금 광역기반시설 설치계획은 핵심 기반시설의 조성을 가시화하여 투자여건을 제고하고, 새만금 기본계획을 뒷받침하여 내부용지 개발을 추진하는데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평가하고,
“아울러, 전력, 가스 등의 공급은 관계기관의 협조가 중요한 만큼 정부 3.0차원에서 관계기관 간 적극적인 협의를 통해 새만금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새만금개발청 케이콘텐츠 kcontents |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