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가경쟁력 순위 - WEF(World Economic Forum)
연도별 순위 : (’11) 24 → (‘12) 19 → (’13) 25 → (‘14) 26위
3년째 제자리 걸음
WEF 국가경쟁력 10위권 국가
* WEF 국가경쟁력 평가
WEF(World Economic Forum)는 스위스에 있는 국제기관으로 1979년* 이후 매년 국가경쟁력을 평가해서
발표(WEF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 1995년까지 IMD와 공동으로 발표하였으나, 1996년부터 독자 발표
2015년 평가는 Global Competitiveness Index 체계하에 3대 분야, 12개 부문, 114개 항목(통계 34개, 설
문 80개)에 대해 평가
* 통계는 WEF가 IMF, WB, UN, WHO 등 국제기구의 통계를 직접 수집
설문은 국내파트너기관(KDI)를 통해 기업 CEO를 대상으로 실시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총평) 우리나라는 총 140개국 중 26위로 전년도와 동일 스위스, 싱가포르, 미국이 각각 1, 2, 3위를 차지, 주변국인 일본(6위), 중국(28위)도 전년과 동일한 순위 (분야․부문별) 3대분야 중 기본요인(20→18위) 분야는 순위 상승, 효율성 증진(25위)과 혁신 및 성숙도(22위)는 전년과 동일 부문별로는 거시경제(7→5), 인프라(14→13) 등 7개 부문은 상승한 반면, 금융(80→87) 등 4개 부문은 순위가 하락 총 114개 지표 중 71개가 개선(62.3%)되는 등 경제혁신 3개년계획 등의 정책효과가 일부 가시화 (평가 및 시사점)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활성화 정책 등에 힘입어 거시경제 부문 등 개선세가 뚜렷하나 취약분야인 노동․금융부문이 순위상승을 제약 현재 추진중인 구조개혁(노동․금융․규제개혁)이 국가경쟁력 제고와 직결 ⇒ 지속적인 추진 필요 ※ 자세한 내용은 첨부자료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기재부 케이콘텐츠 kcontents |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