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광역철도, 2017년까지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한다

모든 역

안전사고(추락, 투신 등) 예방

지하역사내 공기질 개선 효과 커


수도권광역전철(수도권전철) 1호선 충남지역 구간에 개통된 지 10년이 다 되도록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지 않아 이용객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두정역 자료사진)

출처 디트뉴스24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수도권 광역철도, 2017년까지 승강장 안전문(스크린도어*) 설치한다.

 

철도공단에 의하면, 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이사장 강영일)은 수도권 광역철도 지하 환경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개선하기 위해 오는 2017년까지 모든 역의 승강장 안전문(스크린도어*)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 열차의 도착 및 출발에 맞춰 자동으로 개폐하는 승강장 안전시설(Platform Screen Door)

 

전철 승강장(고상홈)에서의 안전사고(추락, 투신 등) 예방과 지하역사내 공기질 개선 효과가 큰 안전문 설치 확대 필요성은 그동안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2007년부터 단계적으로 광역철도 승강장 안전문을 설치 중이나, 재원조달이 어려워 작년까지 8년 간 설치율이 34%(총 대상역 231역 중 78개역 설치)로 도시철도에 비해 극히 저조했다. 

 * 도시철도 승강장 안전문 설치율 : (‘14까지) 86%, (’15까지) 94%, (‘16까지) 100%

  

최근 승강장 안전문 미설치 역에서 안전사고가 수시로 발생함에 따라 광역철도 승강장에도 안전문을 조기에 전면설치해야한다는 여론이 저연스레 형성됐다. 

 

국토교통부는 철도안전혁신 차원에서 내년부터 투자를 대폭 확대하여 2017년까지 전동열차가 운행중인 모든 역에 설치를 완료 할 예정이다.

 

승강장 안전문 설치에 필요한 총 사업비는 5,334억원으로 금년까지 1,134억원이 투입되고, 조기설치를 위하여 2017년까지 4,2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정부재원 1,100억 원과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발행하는 철도시설채권을 통하여 3,100억 원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에따라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지난달부터 설계에 착수해 올 연말까지 완료하고, 내년부터는 공사를 착공하여 2년(2016년 69개역, 2017년 70개역)에 걸쳐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수도권 전철 모든 역에 승강장 안전문이 조기 설치되면, 승강장에서의 안전도가 대폭 향상되어 승강장 안전문이 없는 역에서 발생하던 사상사고*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될 전망이다.

 * 최근 3년간 총 108건 발생(사망 61명, 중상 38명, 경상 9명) 발생(세부내역 : 참고3)

 

 지하역의 경우 공기질 개선과 함께 쾌적한 이용환경이 조성되어 국민들이 더욱 편리하게 철도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레일뉴스 장태창 기자  itrailnews@naver.com

edited by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