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심각…‘300만 명 사망’ 분석결과 The contribution of outdoor air pollution sources to premature mortality on a global scale
눈에 보이는 것보다 안보이는 초미세먼지가 더 무서워
지하층에 많아
가장 큰 원인, 주택 내 난방
출처 krcnr.cn
*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일산화 탄소 등과 함께 수많은 대기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대기오염 물질로
자동차, 공장 등에서 발생하여 대기중 장기간 떠다니는 입경 10㎛ 이하의 미세한 먼지이며, PM10이라 하고,
입자가 2.5㎛ 이하인 경우는 PM 2.5라고 쓰며 '초미세먼지' 또는 '극미세먼지' 라고 부른다. 학술적으로는 에
어로졸(aerosol)이라고 부른다. 미세먼지(fine particles) 는 부유분진(Suspended particles), 입자상물질
(Particulate matter) 등으로도 불리며 명칭에 따라 약간씩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입자상물질은 공기역학
적 입경(지름)이 10nm에서 100㎛ 정도이며, 이보다 입경이 큰 경우는 중력에 의한 침강효과로 대기중 체류
시간이 아주 짧다.
미세먼지 크기
PM-2.5 (Particulate Matter Less than 2.5㎛) 초미세먼지
입자의 크기가 2.5㎛ 이하인 먼지를 말한다. 이것을 초미세먼지라고 한다.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건강에 미
치는 영향이 크다는 결과에 따라 선진국에서 미세입자에 대한 기준을 90년대 후반부터 도입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은 2015년 1월에 시행 예정인 연평균 25㎍/㎥, 24시간 평균 50㎍/㎥의 기준을 발표하였으며, 미국
은 연평균 15㎍/㎥, 24시간 평균 35㎍/㎥의 기준을 설정하였다.이것을 초미세먼지라고 한다.
출처 위키백과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미세먼지 ‘PM 2.5’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이 원인으로 수명을 다 누리지 못하고 죽는 사람 수가 2010년에 전 세계에서 300만 명 이상에 이르렀다는 분석 결과를 독일과 미국 연구팀이 17일, 영국 과학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가장 많았던 것은 중국의 약 136만 명이었으며, 일본은 15번째인 약 2만 5천 명이었다. 미세먼지와 오존으로 인한 대기오염은 만성 폐색성 폐 질환과 허혈성 심질환, 폐암 등 많은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국가별 통계 데이터 등을 사용해 대기오염물질이 원인으로 수명보다 일찍 죽은 인원수를 산정한 결과, 2010년에 세계에서 약 330만 명 이상에 달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가장 많았던 것은 중국이며, 인도의 약 65만 명, 파키스탄 약 11만 명이 뒤를 잇는 등 상위에 아시아 각국이 다수 포함됐다. 연구팀은 현재 상태로는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2050년에는 약 66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미세먼지 등이 배출되는 가장 큰 원인은 주택 내 난방이며, 특히 중국과 인도에서 영향이 컸다. 또한, 아시아에서는 농업에 사용하는 비료에서 암모니아 발생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많았다. 화력발전소와 공장에서의 발생도 문제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아시아에서 대기오염을 막기 위해서 일련의 규제가 필요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교도통신】 |
The contribution of outdoor air pollution sources to premature mortality on a global scale
J. Lelieveld,J. S. Evans,M. Fnais,D. Giannadaki& A. Pozzer
Nature
Assessment of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is based on epidemiological cohort studies that connect premature mortality to a wide range of causes1, 2, 3, 4, 5, including the long-term health impacts of ozone and fine particulate matter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2.5 micrometres (PM2.5)3, 4, 5, 6, 7, 8, 9. It has proved difficult to quantify premature mortality related to air pollution, notably in regions where air quality is not monitored, and also because the toxicity of particles from various sources may vary10. Here we use a global atmospheric chemistry model to investigate the link between premature mortality and seven emission source categories in urban and rural environments. In accord with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for 2010 (ref. 5), we calculate that outdoor air pollution, mostly by PM2.5, leads to 3.3 (95 per cent confidence interval 1.61–4.81) million premature deaths per year worldwide, predominantly in Asia. We primarily assume that all particles are equally toxic5, but also include a sensitivity study that accounts for differential toxicity. We find that emissions from residential energy use such as heating and cooking, prevalent in India and China, have the largest impact on premature mortality globally, being even more dominant if carbonaceous particles are assumed to be most toxic. Whereas in much of the USA and in a few other countries emissions from traffic and power generation are important, in eastern USA, Europe, Russia and East Asia agricultural emissions make the largest relative contribution to PM2.5, with the estimate of overall health impact depending on assumptions regarding particle toxicity. Model projections based on a business-as-usual emission scenario indicate that the contribution of outdoor air pollution to premature mortality could double by 2050.
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525/n7569/full/nature15371.html
케이콘텐츠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