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친환경에너지 자립섬' 조성 본격 시동

경북도, *‘울릉도 친환경에너지자립섬㈜’ 창립기념식 개최

올해부터 2020년까지 6년간 총 3,902억 원 투입

디젤 발전 '제로' 목표


울릉도 에너지자립섬 울릉도 에너지자립섬 계획도.  

ⓒ 시사인천 자료사진 


*‘울릉도 친환경에너지자립섬㈜

경북도, 울릉군, 한국전력, LG CNS, 도화엔지니어링 출자 설립 특수목적법인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울릉도를 세계 최초의 친환경에너지 자립섬으로 만들기 위한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경상북도는 11일 인터불고 호텔에서 ‘울릉도 친환경에너지자립섬㈜’ 창립기념식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김관용 경북도지사, 문재도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 최수일 울릉군수, 김희수 도의원, 조환익 한전사장, LG CNS 대표이사 및 관련기업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울릉도 친환경에너지자립섬㈜’ 창립기념식


이날 출범식을 가진 ‘울릉도친환경에너지자립섬㈜’는 울릉도에 ICT를 융합된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태양광, 소수력, 지열 및 연료전지)을 건설해 전력을 생산·판매한다. 


울릉도친환경에너지조성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경북도, 울릉군, 한국전력, LG CNS, 도화엔지니어링이 출자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이다. 


올해부터 2020년까지 6년간 총 3,902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1단계 사업으로 올해부터 2017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를 위해 디젤 발전을 축소하고 수력·풍력·태양광 ESS(전력을 임시 저장해 전력 부족 시 송전해주는 장치) 설치를 통해 에너지 연계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2단계 사업으로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울릉도의 지열 자원을 활용해 지열발전, 연료전지 등으로 디젤발전을 전면 중단하고 전기차와 전기어선을 보급해 세계 최초의 100% 탄소 제로섬을 구축할 계획이다. 


울릉도가 에너지 자립섬의 성공모델로 부각되면 관련 산업분야의 일자리창출과 성장 동력 확보, 기업체들의 해외 진출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또 울릉도의 청정 이미지 부각으로 레저산업 확산과 국내외 에너지 관광객 유치 등 지역경제 활성화도 기대되고 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울릉도 친환경에너지자립섬㈜ 설립을 통해 민간 기업과 손잡고 에너지 산업의 새로운 장을 열어 신재생에너지 역사를 다시 쓸 것”이라며 “탄소 Zero 녹색섬으로 거듭난 울릉도는 국내외 관광객 유치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독도영토주권 사업에도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울릉도에너지자립섬사업은 경북도가 2008년 산업통상자원부에 처음 건의한 후 지난해 관련 기관들이 업무협약을 체결해 사업을 추진해왔다. 


자세한 문의는 경상북도 청정에너지산업과(053-950-3994)로 하면 된다.

경상북도 

케이콘텐츠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