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건설인부 위치 파악시스템 구축...내달부터

전자카드로 건설현장 출입 확인

지하·터널 등 안전사고 예방

인권침해 논란도 예상돼


2013년7월15일 인부 7명이 사망한 노량진 상수도관 이중화 부설공사 수몰사고 현장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상수도관 부설 공사 중 갑자기 불어난 물에 갇혀 인부 7명이 사망한 노량진 배수지 수몰사고가 지난 15일로 2주기를 맞은 가운데, 서울시가 건설현장 근로자의 위치파악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건설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2016년 중 시가 발주한 공사현장 3곳에 '건설근로자 위치확인시스템'을 도입하겠다고 22일 밝혔다.

  

시는 블루투스, 비콘(Beacon), 와이파이(WiFi) 같은 통신기술을 활용해 위성항법장치(GPS)가 잡히지 않는 건설현장 내 근로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우선 서울시 및 산하기관이 발주한 413개 공사장(지난달 기준) 가운데 내년 하반기 3개 사업장에서 시범사업을 통해 효과를 분석하고, 단계적으로 시스템 적용을 확대할 구상을 하고 있다.

 

전 단계로 8월부터 근로자들이 소지하는 전자카드에 칩을 달아 출입 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도입한다. 

 

이는 대부분 건설공사가 출근부 등으로 인력을 관리해 사고가 발생했을 때 실제 현장 근로자를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건설현장에선 시공사가 보험 부담 등을 낮추기 위해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일수를 축소하는 관행이 있는데 이로 인해 근로자에게 노무비를 미지급하는 '품떼기'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실제 올해 2월 발생한 사당종합체육관 붕괴사고에서 시는 현장 투입인부를 파악하는데 애를 먹었고, 사고수습에 혼선이 있었다.

  

이에 박원순 시장이 "토피스시스템(교통관련 기관, 버스카드 시스템 등 교통정보를 총괄 관리하는 시스템) 처럼 현장 근로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시스템을 검토해 관계기관이 공유하고, 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직접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서울시내 터널공사장이 대부분 지하나 산지관통 터널 처럼 최소 땅의 수십미터 아래에서 공사가 진행되고 있지만 휴대폰 사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통신환경에 제약이 있다.

  

시는 위치파악시스템을 구축하면 이런 작업환경에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고가 터지면 바로 인부를 찾아 신속한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상하좌우가 막힌 공간에서 층별로 인부들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도 개발한다. 

  

다만 근로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은 인권침해 논란이 예상돼 신중히 접근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건설근로자의 안전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인권침해 소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전했다.

(서울=뉴스1) 차윤주 기자 chacha@ 

edited by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