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줏대없는' 국토부, '경원선 복선 노반공사' 시공사 선정 논란

800억원 불과

최상위 5개 업체 시공사 선정

철도공단, 주간사 '현대건설' 선정


경원선 복선 노반공사 노선도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지난기사]2015.07.13 

 

  국토교통부가 도급비 800억원에 불과한 '경원선 복원 노반공사'에 최상위 5개 업체를 시공사로 선정하면서일관성 없는 행보로 입길에 오르고 있다. 국토부가 그동안의 선정방식을 합리적인 이유없이 버렸다는 이유에서다.


1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최근 경원선 복원사업 노반공사 사업자로 시공순위 1~5위인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포스코건설, 대림산업, 대우건설을 잠정 결정했다. 지역업체인 현대아산도 포함됐다.


경원선 복원사업은 수의계약으로 진행되고 남북협력사업의 실적을 쌓을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큰 관심을 받아왔다.


문제는 시공사 선정방식이 계속 바뀌어 왔다는 점이다.


애초 국토부와 철도시설공단는 시공능력평가 1~3위 업체를 시공사로 선정하고 이중 1위 업체에 주간사를 맡기기로 방침을 세웠다.


지난 2000년 경의선과 국도1호선 통일대교~장단, 2002년 동해선, 국토7호선 명호~송현진 복원 등 남북철도 복원사업 4건에 적용된 방식을 그대로 따르기로 했다.


남북협력사업이 가지는 상징성과 접경지역에서의 공사로 지뢰매설 등에 따른 위험성 등을 감안해, 최상위 업체가 맡아야 한다는 논리에서다. 


이 기준대로라면 작년 시공능력 5위 대우건설이 탈락하게 되는데, 대우건설은 그동안의 공사경험도 시공사 선정기준으로 포함시키자고 강하게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4건의 사업은 현대건설과 삼성물산, 대우건설이 담당했다.


국토부는 5위 대우건설을 시공사로 고려하면서 3~4위 포스코건설과 대림산업도 선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결국 790억원(부가세 포함) 공사에 5개 대형사가 전부 붙게된 셈이다.


아울러 국토부는 주간사 선정 기준도 시공능력 1위에서 다른 방식으로 변경할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물산 대신 현대건설 또는 대우건설이 주간사로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국토부가 처음에는 명백한 기준을 세웠지만, 업체들의 로비에 넘어가면서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며 "시공사 선정 이후 문제소지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아직 경원선 복원사업 시공사를 선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인포맥스) 김대도 기자  

edited by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