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그라펜라인펠트(Grafenrheinfeld) 원전' 영구 폐쇄 Grafenrheinfeld ends electricity production

전체 원전폐로 계획 본궤도 올라

2022년 말까지 모든 원전 영구폐쇄


그라펜라인펠트(Grafenrheinfeld) 원전 출처 kernenergie.de


[관련자료]

원자력발전소 1기 가동 중단  

http://blog.naver.com/gwatercenter?Redirect=Log&logNo=220414787249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독일E.On사의 그라펜라인펠트(Grafenrheinfeld) 원전 영구폐쇄는 독일의 원전 전체에 대한 영구 폐쇄계획이 제대로 이행되고 있다는 표증이라고 독일 환경부의 Barbara Hendricks 장관이 2015년 6월 27일 성명서를 통해 밝혔다.


Hendricks 장관은 영구폐쇄된 각 원자로로 말미암아 원자력발전소 운전에 따라 수반되는 위험도가 감소했으며 독일의 에너지 공급원을 전환하는데 있어 진일보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2011년 Fukushima 제1원전 사고 이후 독일연방정부는 2022년 말까지 모든 원전을 영구폐쇄하기로 결정했으며 독일의회도 이를 강제하기 위한 법령을 제정한 바 있다.


E.On사는 지난해 원래 폐쇄가 2015년 12월 말로 계획된 1,345 MW급 Grafenrheinfeld 원전을 핵연료재장전이 필요하지 않은 시점에 조기 폐쇄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원전에 부과되는 세금에 관해서 독일 법원 및 유럽연합(EU) 법원에 소송이 진행되고 있다.


E.On사는 해당 원전을 계획된 일정보다 조기에 폐쇄하겠다고 밝히는 자리에서 연료를 재장전해도 반년 밖에 추가적인 운전이 가능할 뿐이라 재장전이나 세금에 납부하기에는 경제적이지 못하다고 공개한 바 있다.


Hendricks 장관은 독일의 연방 송전망운영기관이 Grafenrheinfeld 원전이 퇴역하더라도 전력공급의 안정성이나 송전망의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을 거라고 결론내렸다고 밝혔다


이번 해당원전의 폐쇄로 인해 독일에는 전체 17기 중 8기만이 남게 되었다. 1,344MW 용량의 Gundremmingen B 원전은 E.On사와 RWE사 소유하고 있는데 2017년 말까지 영구폐쇄될 계획이며, 1,468MW 용량의 Philippsburg 2호기는 2019년에 폐쇄된다. 잔여 6기의 원자로는 2021년 말과 2022년 말까지 각각 운영허가를 상실하게 되며 이렇게 되면 12개월 사이에 8,000 MW에 해당하는 원자력발전 설비용량이 감소되는 것이다.


2009년 재정위기와 에너지 가격의 폭등 속에서 총선을 통해 정권을 잡은 새로운 연합정부는 반핵의 녹색당이 포함되지 않았었기 때문에 독일 내 원전의 운영허가를 연장하기로 수월하게 결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후쿠시마 원전사공의 즉각적인 여파로 Angela Merkel 총리는 원전수명 연장계획을 번복할 수밖에 없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불과 며칠 후 Merkel 총리는 1980년 이전에 건설된 7기의 원전을 즉시 폐쇄한다고 선언했다.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대한 보조금 덕분에 독일은 해상풍력 발전 및 태양광 발전에 있어 세계적인 선두주자이며 이들 설비용량은 80GW에 이른다.


독일은 올해 풍력발전과 태양광 발전을 통해 원자력발전을 통한 것보다 많은 전력을 생산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고 하지만,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보조금과 발전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석탄 및 갈탄을 연료로 하는 발전소의 환경에 대한 부정적 효과 등은 여전히 논란거리이다.


독일의 원자력발전량은 2010년도 140.5TWh에서 2014년도에는 97TWh로 감소했다. 풍력 및 태양광 발전량은 2014년도에 84TWh를 달성했으며 올해는 100 TWh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Grafenrheinfeld ends electricity production



29 June 2015

The single-unit Grafenrheinfeld nuclear power plant in Germany was disconnected from the grid on 27 June after 33 years of operation. The government had ordered the plant to close by the end of this year as part of the country's energy transition.


Plant owner EOn announced yesterday that the unit was disconnected from the grid at one minute to midnight on 27 June.


The 1275 pressurized water reactor has generated more than 333 billion kWh of electricity, the company said, sufficient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whole of Bavaria for about four years. Compared with a lignite power plant, Grafenrheinfeld has avoided the emission of some 355 million tonnes of carbon dioxide, EOn estimates. Until recently, the plant had been supplying about 11.5% of Bavaria's electricity.


Construction of Grafenrheinfeld began in January 1975. The reactor achieved first criticality in December 1981 and was connected to the grid in the same month. It entered commercial operation in June 1982.


EOn said that about €600 million ($667 million) had been invested in modernizing the plant during its operating life, with some €72 million ($80 million) spent in the past three-and-a-half years alone.


In September 2010, an agreement was reached between Germany's nuclear power plant operators and the government to grant eight-year licence extensions for reactors built before 1980, and 14-year extensions for later ones. The price exacted for this included a tax of €145 ($161) per gram of fissile uranium or plutonium fuel for six years, yielding €2.3 billion ($2.6 billion) per year; payment of €300 million ($333 million) per year in 2011 and 2012, and €200 million ($222 million) 2013-16, to subsidise renewables and for funding rehabilitation at the Asse salt mine waste repository. A tax of 0.9 c/kWh for the same purpose would follow after 2016. At the end of October 2010 these measures were confirmed by parliamentary vote on two amendments to Germany's Atomic Energy Act, and this was confirmed in the upper house the following month.


Then, in March 2011, the government declared a three-month moratorium on nuclear power plans, in which checks would take place and nuclear policy would be reconsidered. Chancellor Angela Merkel decreed that the country's nuclear power reactors which began operations in 1980 or earlier should be immediately shut down. This decision was not based on any safety assessment, and did not result in removal of the fuel tax.


In May 2011, after increasing pressure from anti-nuclear federal states, the government decided to revive the previous government's phase-out plan and close all reactors by 2022, but again without abolishing the fuel tax.


Under this plan, the Grafenrheinfeld plant was scheduled to shut on 31 December 2015. However, EOn decided in March 2014 to close the plant seven months early, claiming the government tax on nuclear fuel makes its final period of operation uneconomic. The company did not refuel the unit last month on the basis that it cannot recoup the cost of the tax before the plant is ordered to close at the end of 2015.


Germany now has eight power reactors in operation with a combined generating capacity of 10,728 MWe. The next scheduled closure of a German reactor is RWE's 1284 MWe Gundremmingen B boiling water reactor by the end of 2017.

Researched and written

by World Nuclear News

edited by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