써카(Circa) 뉴스



써카(Circa)는 뉴스를 독특한 방식으로 생산하기로 유명하다. 

써카는 기사를 쓰지 않는다는 점이 다른 매체와의 가장 큰 차이다.


뉴스를 사실, 인용문, 통계치, 사건, 이미지 등 ‘원자 단위’(atomic unit)로 분해한 후 이를 다시 엮어서 스토리로 만든다

언론사들은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될 때마다 새로운 기사를 써야 한다. 


그리고 이미 어느 정도 알고 있는 독자와 그렇지 않는 독자 모두를 고려해야 하므로 대부분 이미 쓴 사실을 다시 쓴다. 

써카는 이러한 스토리를 개별적인 원자로 분해하기 때문에 누가 무엇을 읽었고, 읽지 않았는지 추적할 수 있다. 


계속 기사를 읽은 상태라면 3일 후에는 서너 가지 새로운 사실을 추가해 제공한다. 

써카가 독자들에게 제공하는 건 기사가 아니라 ‘스토리’다. 


개별 기사가 아닌 하나의 이야기로 다룬다. 

11명의 에디터들이 하루에 50~60개, 많게는 150개의 뉴스를 업데이트한다. 


상당한 양이지만 기사를 다시 써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진 않는다..

어떤 경우는 원 포인트(one point)만 추가해도 된다. 


하지만 효과는 적지 않다.

그 원 포인트가 독자들이 써카를 다시 찾게 한다. 


써카 뉴스는 에디터 1인이 아닌 협업을 통해 탄생되기 때문에 바이라인이 따로 없다. 

또한 새로운 사실이 나올 때마다 내용이 추가되지만 모든 걸 덕지덕지 붙이는 식으로 스토리를 완성하지 않는다. 


써카 모바일


한 달 전에 만들어진 이 기사의 경우 지금까지 5개의 포인트가 추가됐는데 이것만 작성한 건 아니다. 

이들 중 일부는 관련성이 떨어져서 삭제되거나 숨겨지기도 한다. 


원자화된 써카 뉴스의 논조는 매우 건조한 편이다.

매우 객관적인 사실만을 전달하며 분석이나 의견은 넣지 않는다. 


우리는 정확(accurante)하고 심도(thorough) 있으며 공정(fair)하게 전달하려고 한다.

이렇게 완성되는 모바일 전용 뉴스 콘텐츠가 호흡이 짧을 것이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써카 뉴스의 길이는 일면 짧아 보이지만 시간을 두고 보면 ‘롱 폼(long form)’이다. 

우크라이나 사태를 다룬 뉴스에는 10 포인트가 있지만 실제로는 150 포인트 이상이 숨겨져 있다. 


전체를 다 읽으면 꽤 긴 글이지만 조각조각 떨어져 있기 때문에 길게 느껴지지 않는다. 


우크라이나 스토리를 팔로우할 경우 잡지 뉴요커(The New Yorker)의 3,000 단어짜리 긴 기사를 읽는 사람보다 이 사건에 대해 더 잘 알 수 있다.


써카는 자신들의 CMS(콘텐츠관리시스템)를 공개하진 않았지만 CMS는 그들만의 독특한 방식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30년 전이라면 기사를 써서 에디터에게 보내고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다가 헤드라인을 정하고 종이신문의 레이아웃을 짜는 편집 기자에게 넘긴다. 


그러면 이 편집기자가 신문사 안에서 소비자 입장에서 콘텐츠를 바라보는 첫 번째 사람이 된다. 

기자는 신문지면상에서 자신의 기사가 어떻게 보일지 고민하지 않았다. 


하지만 모두가 소비자의 입장에서 뉴스를 바라볼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무엇보다 써카를 이해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키워드는 ‘모바일 전용’이다. 


2012년 출시된 써카는 애플리케이션을 받아야만 제대로 이용할 수 있다. 

웹상에서 써카의 SNS에 링크된 뉴스를 클릭하면 볼 수 있지만 모바일 뉴스를 웹화면에 펼쳐놓은 정도이다. 


이들은 자신들의 시도로 뉴스미디어를 새롭게 정의하고 싶어한다. 

CNN 이전에도 뉴스는 있었지만 CNN은 채널에 뉴스를 편성한 정도가 아니라 그 자체가 뉴스를 위한 채널이다. 


그 전에는 없었던 일이었고 CNN은 TV뉴스를 이해하는 방식을 (새롭게)정의했다. 

써카도 첫 번째 모바일 뉴스미디어라고 할 수 없고 다른 경쟁자들도 뉴스 콘텐츠를 모바일에 편성한다. 


뉴욕타임스의 경우도 지면으로 오랫동안 콘텐츠를 제공해오며 돈을 벌어왔다. 

이 콘텐츠를 모바일에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써카는 그 자체가 모바일 뉴스를 위한 미디어다. 

뉴욕타임스와 같이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낡은 시스템)이 있는 경우에는 같은 콘텐츠를 모바일 형식에 맞게 만들어야 하지만 그런 부담이 없기 때문에 완전히 모바일에 집중할 수 있고 모바일 세계에서는 최고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들은 모바일폰 자체가 아니라 모바일 라이프와 모바일화(Mobilization)에 집중한다.

중요한 건 ‘사람들이 뉴스를 어디서 소비를 하는가’이다. 


관심은 모바일폰에서 데스크톱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

사람들이 아직도 데스크톱에서 뉴스를 보고 있고, 미래엔 훨씬 더 큰 스크린으로 뉴스를 볼 수도 있다. 


모바일 라이프에서 독자들이 어디로 향하는지를 추적하는 건 매우 중요하다. 

써카 콘텐츠는 모든 디바이스에서 적용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모바일폰에 집중하면서 사람들이 이동 중에 어떻게 뉴스를 소비하는지 추적하고 있다.

뉴스를 분해해서 사실과 인용 등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독자가 무엇을 읽고 무엇을 읽지 않았는지를 추적한다. 

아침에 일어나서 사람들이 가장 먼저 하는 행동이 핸드폰을 보는 것이다. 


제일 먼저 이메일을 체크하고 그 다음엔 뉴스를 본다. 

하지만 얼른 씻고 나가야 하기 때문에 30분씩 보진 않는다. 


1~5분 정도 보기 때문에 그 시간 안에 읽을 수 있도록 한다.

독자들이 웹과 모바일에서의 행동패턴이 다르다. 


모바일에서는 쓰는 시간이 다르다. 

아침에 잠깐 쓰고 오후나 퇴근길에 잠깐 사용하지만 데스크톱은 사무실에 도착해서 켜는 등 정반대다. 


대부분 뉴스매체들의 트래픽은 주말 동안 급락한다. 

결코 다른 뉴스매체만큼 떨어지지 않는다. 


주말에 사람들이 컴퓨터에 로그인하고 싶어 하지 않지만 핸드폰은 본다.

그렇다고 해서 써카가 모바일 영역에만 머무르는 건 아니다. 


써카도 영역 확장에 나서고 있다. 

모바일에서 뉴스를 소비하는 라이프스타일에 초점을 맞춰 시작했지만 웹을 비롯한 다양한 플랫폼도 중요하다. 


이들은 웹페이지(circanews.com)를 올해 말부터 시작할 계획이다. 

기존 뉴스매체들이 모바일 분야를 강화하는 현상에 대해서는 회의적으로 바라봤다. 


뉴욕타임스가 ‘모바일 퍼스트를 해야 하느냐’라는 질문을 던진다면 ‘그들은 할 수가 없다’가 답이다”라고 했다. 

올해 CNN는 처음으로 데스크톱보다 더 많은 트래픽을 모바일에서 가져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물론 이 방송사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라 많은 뉴스 매체들이 웹과 모바일 트래픽 비율을 50대 50으로 예상하고 있다.

수익 측면에서 딜레마에 빠져 있다. 


모바일에서의 수익 모델이 불투명하다.

기존 언론들은 ‘프린트 달러(print dollars)’를 ‘디지털 다임(digital dimes)’으로 교환하고 있다. 


그리고 정교한 모바일 경험을 제공하는 게 아니라면 ‘디지털 다임(digital dimes)’을 ‘모바일 페니(mobile penny)’로 바꾸고 있다. 


보통 모바일에서는 기껏 해봤자 배너광고 정도가 붙는다. 

웹과 모바일의 트래픽 비율이 50대 50 수준으로 올라가더라도 가능하면 웹 비중을 100%로 두고 싶다. 


웹에서는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을 알지만 모바일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아직 모른다

모바일 달러’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다. 


미국의 다른 뉴스 스타트업과 마찬가지로 네이티브 광고(native ad)를 수익 창출의 기회로 보고 있다. 

언제나 중요한 건 확산 범위(Scale)와 몰입도(Engagement)다. 


기업이 이런 스토리를 후원한다면 엄청난 효과를 볼 것이다. 

현재 수익스트림(stream)이 없는 상황이다. 


광고가 없고 기사는 무료이며 독자에게 다가가는데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향후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여러 기회가 있다. 


그 중 하나가 스폰서 콘텐츠(sponsored contents)다. 

네이티브 광고가 가장 혁신적인 수익모델 중에 하나다. 


그리고 (다운로드와 같은)유료 가입 등 또 다른 구체적인 수익원을 찾을 수도 있다.

저작권 분쟁은 발생하지 않는다. 


국무총리의 말을 인용했다면 저작권은 그에게 있지 뉴스매체에 있는 게 아니다. 

국무총리는 소송을 제기할 수 있지만 뉴스매체는 아니다.


우리가 복사하고 붙여 넣는 건 쿼터(quote)일 뿐이지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다시 쓰며(rewrite), 팩트 자체에 저작권이 적용될 수는 없다. 


독자가 있는 한 종이신문은 남아있겠지만 독자 수는 점점 줄어들 것이다. 

요즘은 신문을 끼고 다니는 20대를 찾아보기 힘들다. 


하지만 여전히 종이매체를 좋아하는 독자들도 있다. 

종이신문은 상품이다. 


하지만 저널리즘이 곧 종이신문은 아니다. 

모바일을 비롯한 다른 상품들이 출시되면서 저널리즘은 더욱 발전할 것이다. 


물론 종이신문의 비중은 줄어들 수 있고 매주 7일 종이신문이 나오는 일은 사라질 것이다. 

종이신문이 전처럼 다시 주류가 되기는 어렵다.


다음블로그 '터경영' 택님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