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銀․무보, 美 사빈패스 LNG 플랜트사업에 PF금융 17.5억달러 제공
8개 국내 금융기관도
수은 채무보증과 무보 보험 통해 공동 참여
수은, 시중은행들의 해외 PF사업 참여
금융국제화에 징검다리 역할
사빈패스 LNG프로젝트 현장(미국 루이지애나주 카메론 파리쉬 지역)조감도
사빈패스(Sabine Pass) LNG 프로젝트 개요
수출입은행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편집
한국수출입은행(www.koreaexim.go.kr, 은행장 이덕훈, 이하 ‘수은’)과 한국무역보험공사(이하 ‘무보’)를 비롯한 총 10개 국내 금융기관들이 해외 대형 프로젝트에 공동으로 PF금융*을 제공한다. PF(Project Finance) : 기존 기업금융(Corporate finance)이 기업의 신용에 기반해 대출을 제공하는 반면, PF는 프로젝트에서 나오는 현금흐름을 주요 상환재원으로 하고 프로젝트 자체의 자산, 권리 등을 담보로 프로젝트 회사에 금융을 제공하는 지원방식. 수은과 무보는 미국 사빈패스(Sabine Pass) LNG 플랜트 3단계 증설사업에 각각 10억달러, 7억5000만달러 등 총 17억5000만달러의 PF금융을 제공한다고 2일 밝혔다. 두 기관이 제공하는 17억5000만달러는 이 사업의 증설자금 46억달러의 약 40%를 차지한다. 지난 2013년 수은과 무보는 사빈패스 LNG터미널 플랜트 2단계 사업에 15억달러의 PF금융을 제공한 바 있다. 이번 사업에는 국내 7개 금융기관과 1개 증권사*도 수은의 채무보증과 무보의 보험을 통해 대출에 참여한다. 국민·농협·신한·외환·우리·하나·산업은행, NH투자증권 특히 보증대상대출이 미니펌(mini-perm) 구조*인 바, 수은의 채무보증을 받은 금융기관들은 ‘일시대지급’ 조건을 지원받아 안정적인 자금 지원이 가능했다. -mini-perm 구조 : 중기(5~7년)로 차입한 후 채권발행 등을 통해 차환해 나가는 금융방식으로, 대출기간 중 리파이낸싱을 전제로 함. 수은이 시중은행들의 해외 PF사업 진출과 금융국제화에 징검다리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 것이다. 수은 관계자는 “사빈패스 2단계 사업에 이어 이번 3단계 증설사업에도 금융참여 입찰방식이 아닌 대주(貸主)로서 참여권을 보장받아 국제적으로 수은의 금융경쟁력을 인정받은 방증이 됐다”며 “그동안 수은에 파견된 국내은행과 국내외 로펌의 해외프로젝트 담당자들과의 협업으로 신속한 참여의사 결정을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사빈패스 사업은 미국 루이지애나주 사빈패스에 미국 최초의 LNG 수출용 플랜트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기존 1, 2단계 사업의 트레인 4기를 포함해 이번 3단계 사업을 통해 LNG터미널에 트레인 1기가 증설되면 연간 2250만톤의 대규모 LNG액화시설이 완공된다. 한국가스공사는 미국에서 최초로 LNG 수출허가를 받은 이번 사업에서 우리나라 연간 LNG 수입량의 10% 수준인 350만톤의 LNG를 2017년부터 20년간 장기구매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세계 2위 LNG 수입국인 한국 입장에선 LNG 수입선을 동남아와 중동으로부터 다변화할 수 있어, 국내 가스가격 안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수은 관계자는 “최근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 프로젝트시장 참여가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는 시점에서 정책금융기관이 가진 해외 사업주와의 신뢰관계를 적극 활용하여 사업 참여가 가능하게 됐다”면서 “유가하락 등으로 우리 기업들의 해외자원개발사업 환경이 녹록치 않지만 이번 금융 제공이 북미 천연가스 개발사업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문 의 자원금융실 팀 장 이 도 형 (☎ 02-3779-6437) 홍 보 실 공보팀장 이 진 희 (☎ 02-3779-6065) 수은 |
edited by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