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F(녹색기후기금) 이사회, 첫 7개 이행기구 인증
산업과학 Construction,Science/환경안전 Environment,Safety2015. 3. 27. 19:38
처음으로 7개 이행기구 인증, 사업모델 정교화
COP21('15.12, 파리) 이전 제11차 이사회('15.10)에서 사업 선정
4월 말까지 공여약속 국가 공여협정 체결 예정
박근혜 대통령이 2013년 12월4일 인천 송도 G타워에서 열린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 출범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는 모습. ⓒ 청와대
*녹색기후기금(GCF,Green Climate Fund)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온실 가스 감축과 기후 변화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UN 기후 변화 협약을
중심으로 만든 국제 금융 기구이다[1]. 또 이례적으로 최초로 아시아 지역에 본사가 설립된 국제
기구이며 본사는 인천광역시의 송도국제도시 국제업무지구 G타워에 위치해있다.
녹색기후기금은 IBRD와 세계은행과 비교해 더 규모가 클 수 있다.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지난 3월 24일부터 3일간의 촘촘한 일정으로 진행된 GCF 제9차 이사회가 27일 새벽 4시에 이르러서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끝났다. 이번 이사회에서는 처음으로 7개 이행기구를 인증했고 사업모델을 보다 정교하게 다듬었다. 이번에 인증된 이행기구(Implementing Entity, IE)들은 사업 신청서 작성, 사업 관리, 사업완료와 보고 등 지원사업의 전 과정을 지도하고 감독하게 된다. 이제부터는 자연스럽게 GCF의 논의주제가 기금의 설립과 운영체계에서 개발도상국 지원이라는 본연의 활동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또한 단기적으로도 GCF 사무국이 4월 말까지 체결을 목표로 주력하고 있는 공여협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현재 총 31개국에서 약속한 공여금액 약 102억 달러(USD)에 대한 실제 이행은 그 다음 스텝인 개발도상국 지원사업 개시에 가장 중요한 일이다. 1. GCF는 개도국 지원 프로젝트를 신청받아 늦어도 제11차 이사회(`15.10.24~26예정)까지는 이를 승인한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개도국 지원사업이 가시화 되면 아직 공여에 나서지 않은 국가들로부터 공여약속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동시에 그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민간부분으로부터 투자 형태로 더 많은 기후변화 대응 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재원조성의 새로운 국면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2. * Substantive outcomes at the end of this meeting will be essential to ensure that the Board can meet its aim of taking decisions on programme and project proposals by its eleventh meeting.(Reflection Note by the Co-Chairs 중에서) 3. GCF의 이런 로드맵은 국제사회가 COP21(`15.12, 파리)에서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를 대체해 합의 도출을 목표로 하고 있는 新기후체제(Post 2020)와 관련이 있다. 新기후체제는 선진국만 감축의무를 부담하도록 되어 있는 교토의정서와 달리 각 국의 기여(INDCs) 방식으로 개도국까지 모두 참여하는 새로운 체제로의 전환이다. 또한 감축뿐 아니라 적응, 재정, 기술, 역량강화 등을 다루게 됨에 따라 GCF의 활동과 밀접하다. *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 : COP3(1997, 교토)에서 이행방안으로서 채택된 의정서로 ‘08∼’12년(1차), ‘13년∼’20년(2차) 기간 동안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규정함 * 각 국의 기여(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INDCs) : 각 국이 자체적으로 기존의 목표보다 강화된 수준으로 기여를 결정함. COP20(`14.12, 페루 리마)의 결정에 따라 준비된 국가는 이달 말까지, 여타 국가는 COP21에 충분히 앞서 국가별 기여방안을 제출해야 함. 인천광역시(시장 : 유정복)는 이번 이사회가 그동안 국제회의에 최적화되어 있는 송도컨벤시아가 아닌 사무국이 소재한 G-타워에서 열린 점을 감안해 지원했다. G-타워 내 이사회장(12층), 옵저버 룸(13층), 소그룹회의실(8층), 오․만찬장(14층) 등으로 공간을 구성하고 이에 따른 동선과 보안 등에 신경을 썼다. 아울러 참가자들의 응급상황에 대비해 보건소의 협조로 의료반을 운영했다. 또한, 지난 3월 24일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유정복 인천시장의 환영오찬에서 GCF의 미션과 활동에 대한 지지와 함께 시 기후변화 정책을 소개했다. 아울러 경제자유구역 프로젝트, 책의 수도 인천, 인천의 문화와 관광 등 자료를 배부했다. 시는 7월 6일부터 9일까지 송도에서 다시 열릴 제10차 이사회에서는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본부도시 인천을 알릴 계획이다. 인천시 |
edited by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