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케이블카 사업 성공신화에 전국 지자체들 '들떠"

통영 '한려수도 조망케이블카' 
매출 646억 성공 신화
지자체들 너나없이 유치 경쟁 
국내 21곳 상당수 적자 운영,
환경훼손·지역갈등 부작용도  
"지역 특색·인프라 고려해야" 

내년에 탑승객 1천만 명 돌파가 기대되는 이른바 '황금알을 낳는 거위'인 경남 통영의 한려수도 조망 케이블카
의 운행 모습. 통영시 제공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황금알을 낳는 거위인가? 미운 오리인가?'

 
산과 바다가 어우러진 환상의 경치, 하늘을 나는 듯한 짜릿한 기분까지 더해진 낭만의 케이블카.
부산과 경남 등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케이블카 앓이'를 하고 있다. 

상업 운전 8년 만에 탑승객 1천만 명 시대를 목전에 둘 만큼 성공 신화를 써내려가고 있는 경남 통영시의 '한려수도 조망 케이블카'를 '롤모델(모범)' 삼아 너도나도 또 다른 성공 신화를 꿈꾸고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시 이미지 제고, 막대한 재정 수입까지 안겨 주니 '황금알을 낳는 거위'라는 수식어는 빈말이 아닌 듯하다. 

2008년 4월 18일 개통된 통영 케이블카는 현재까지 2천100여 일을 운행하며 탑승객 850만여 명을 실어 날랐다. 

개통 첫해 50만 명으로 시작해 이듬해부터 매년 120만 명 이상의 발길을 이끌며 탑승객 수 부동의 전국 1위를 지키고 있다. 2011~2013년에는 한 해 탑승객 130만 명을 훌쩍 넘겼다. 세월호 참사 여파로 관광 수요가 급감한 지난해도 평년에 못지않은 탑승객 120만 명을 기록했다. 내년이면 꿈의 기록인 '탑승객 1천만 명' 돌파가 확실시된다. '국민 케이블카'라 불리기에 손색없다.

'대박' 실적에 걸맞게 매출, 영업이익도 상당하다. 지난해까지 7년간 누적 매출은 646억 원, 영업이익 221억 원, 당기 순이익은 177억 원 상당이다. 

통영시는 같은 기간, 당기 순이익 중 일부인 142억 원을 이익배당금으로 챙겼다. 케이블카 운영사인 통영관광개발공사가 통영시 출자로 설립된 지방공기업이어서다.

지역 사회가 얻은 수혜도 적잖다. 173억 원을 들인 사업 하나가 인구 13만 명 남짓의 소도시 통영에 안겨 주는 경제 유발 효과는 줄잡아 한 해 1천500억 원 규모로 추산된다.

이에 자극받은 다른 지자체들이 케이블카 사업에 뛰어든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교통안전공단과 한국삭도협회 집계를 보면 현재 국내 가동 중인 케이블카는 모두 45곳, 스키나 화물용을 제외한 순수 관광용 케이블카는 21곳이다. 현재 계획 중이거나 추진되고 있는 곳도 부산 송도해수욕장과 거제시 노자산 일대 등 전국 13곳이다. 

지난해 정부가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 확대 방침을 밝히자 일부 지자체는 케이블카 사업을 지역의 중요의제로 설정,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국립공원 1호인 지리산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려고 경남 함양과 산청, 전남 구례, 전북 남원 등 4개 시군은 무려 8년째 경쟁 중이다.

그러나 케이블카 사업의 전망이 '장밋빛'일 수만은 없어 지자체들의 '의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현재 운행 중인 국내 관광 케이블카 21곳 상당수가 이익은커녕, 적자에 허덕이는 게 현실이다.

2012년 9월 운행을 시작한 경남 밀양 얼음골 케이블카는 개장 초기, 하루 평균 탑승객이 2천100명을 넘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불법 건축물과 산림 훼손 사실이 드러나 개장 두 달 만에 운행을 중단한 이후 실적이 곤두박질쳤다. 지난해는 하루 평균 탑승객이 700명에 불과, '미운 오리'로 전락했다.

게다가 환경훼손이 불가피한 사업인 탓에 찬반을 둘러싼 지역사회의 갈등 비용과 사회적 수습비용까지 합치면 투자 대비 감수 비용이 절대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최근 신불산 케이블카를 추진하고 있는 울산시와 울주군도 사업을 둘러싼 찬반 논란으로 지역 사회가 둘로 쪼개지는 등 홍역을 앓고 있다. 

어렵사리 케이블카를 설치해도 운영 수익을 보장할 수 없는 데다, 케이블카 사업이 활성화될수록 교통 체증, 주차난 등 생활환경 피해로 인한 사회적인 부작용도 만만찮은 실정이다.

도시개발 전문가들은 "지역 특색과 주변 인프라를 고려해 치밀한 계획을 세우지 않는다면 케이블카는 경제적 이익은 고사하고 환경 파괴만 불러오는 난개발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한 갈등은 치유하기 힘든 상처로 남게 된다"고 지적했다. 
부산일보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edited by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