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개도국 재정 빈약, 투자개발형 사업 늘려야

 `오일머니` 넘치는 중동과 달라
민간서 자금·리스크 분담

GS건설 베트남 호치민 TBO도로

edited by kcontents 

케이콘텐츠 



 아시아 인프라스트럭처 시장은 중동 시장과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접근 방식도 달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무엇보다 인프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아세안(ASEAN) 개발도상국가는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국가 재정이 턱없이 부족하다. 실제 수출입은행 통계에 따르면 2013년 말 기준 아세안 10개국 중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수지 흑자를 기록한 나라는 싱가포르와 브루나이 등 2개국뿐이다. 라오스와 베트남은 재정적자 비율이 5.6%로 가장 높았고 말레이시아(4.6%) 캄보디아(2.7%) 인도네시아(2.1%) 미얀마(1.6%) 등이 뒤를 이었다. 


이 때문에 최근 국외 건설시장에서는 민간과 공공(정부)이 자금과 리스크를 분담하는 민관협력(PPP) 프로젝트가 늘고 있다. 세계은행(WB)에 따르면 2002년 446억달러에 그쳤던 PPP 방식을 통한 개도국 인프라 투자는 2012년 1814억달러로 급증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2020년까지 아시아 인프라 투자에 필요한 8조2000억달러 역시 대부분 민간에서 조달할 수밖에 없다. 아시아개발은행(ADB)에 따르면 WB·ADB 등 다자개발은행(MDB)에서 조달 가능한 자금은 5000억달러에 불과하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유가 하락이 장기화하면 중동 국가 발주 물량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며 "아시아 인프라 시장 비중 확대를 고려하고 있는 건설사들은 도급형 전략에서 PPP에 기반을 둔 투자개발형 전략으로 방향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투자개발형 사업은 설계·구매·시공(EPC)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발굴부터 기획·투자·금융·건설·운영까지 전 과정을 책임지는 형태로, 단순 도급공사보다 수익성은 높지만 투자기간이 길다는 것이 단점이다. 이 때문에 국내 건설사가 국외 건설로 올리는 실적 중 투자개발형 비중은 2013년 기준으로 2%에 불과하다.
단순 도급 비중은 86%에 이른다. 

정창구 해외건설협회 금융지원처장은 "투자개발형 프로젝트는 3~4년이면 끝나는 도급 사업과 달리 10년 이상 장기 사업이기 때문에 임기가 1~2년밖에 안 되는 건설사 사장(CEO)이나 임원이 추진하기는 어렵다"며 "국내 금융회사들이 참여를 꺼리는 것도 사업기간이 길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 등 국책금융기관이 앞에서 끌어주고 시중은행과 국민연금, 한국투자공사 등이 뒤에서 받쳐주는 '국가적 파이낸싱 모델'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매일경제[기획취재팀 = 서양원 부국장 / 장용승 차장 / 신현규 기자 / 문지웅 기자 / 이동석 MBN 기자]

edited by kcontents


"from past to future"

데일리건설뉴스 construction news

콘페이퍼 conpaper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