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 전용 제2 쇄빙선, 2020년 취역한다

아라온호보다 큰 1만2000t 급

남극보다 두꺼운 북극 얼음 깨는 쇄빙 능력도 강화

 

국내 유일의 쇄빙선 '아라온'을 이용해 북극에서 연구를 하는 모습. 아라온이 남극과 북극 탐사를 모두 도맡는 바람에

1년 중 311일을 풀가동하는 스케쥴을 소화해야 한다. -극지연구소 제공

 

동아사이언스

 

[동영상첨부]

헬리콥터에서 촬영한 남극 아라온호

kcontents

 

 

유라시아 대륙과 북미 대륙으로 둘러싸인 바다가 얼어붙어 생긴 북극. 고요한 이 얼음바다가 최근 세계 각국의 뜨거운 관심으로 요동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북극의 두꺼운 해빙(海氷)이 녹으며 드러난 새로운 바닷길 북극항로 때문이다. 우리 정부도 북극항로 개척을 국정과제로 정하고 북극 전용 쇄빙선 건조를 추진하고 있다.

 

 

북극이사회 옵서버 자격 획득  

 

동아일보DB 제공

동아일보DB

제공

 

북극항로의 가장 큰 장점은 석유, 광물, 목재 등의 수송 기간을 최대 절반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것. 가령 부산항을 출발한 배가 네덜란드 로테르담으로 갈 때 기존 수에즈 항로를 따라 인도양과 아프리카 해안을 거쳐 가면 24일간 2만100km를 가야 한다.

 

하지만 시베리아 북부 해안을 따라 대서양, 태평양을 잇는 북극항로로는 14일이면 충분하다. 운항거리도 1만2700km 정도로 절반 가까이 줄어든다.

 

하지만 남극과는 달리 북극은 엄연한 ‘남의 땅’이다. 남극은 1959년 체결된 남극조약에 따라 어느 국가에도 속하지 않은 ‘자유의 땅’이지만 북극은 미국 캐나다 러시아 노르웨이 등 인접한 8개 국가가 영유권을 갖고 있다. 이들 8개국은 북극이사회 회원국으로 북극에 대한 배타적 권리를 행사한다. 
 

김예동 극지연구소장은 “우리나라가 북극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영유권 국가와 과학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파트너십을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며 “2013년 북극이사회 정식 옵서버 자격을 얻어 북극항로와 자원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현재 정식 옵서버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영국 프랑스 중국 일본 등 12개국이다.

 

아라온호 쇄빙 능력의 2배   

아라온호의 뒤를 이어 북극 전용인 ‘제2의 쇄빙선’ 건조도 속도를 내고 있다. 김 소장은 “극지에서 쇄빙선은 ‘신발’과 같은 존재”라며 “북극이사회 옵서버 자격을 얻을 때에도 아라온호의 남극 연구 활동이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재 아라온호는 365일 중 311일을 풀가동하는 살인적인 스케줄을 소화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북극 연구를 지원하기가 어렵다. 특히 남극 해빙과 북극 해빙의 특성이 달라 아라온호보다 더 강력한 쇄빙 능력을 갖춘 쇄빙선 건조가 필수적이다.

 

남극은 대륙인 반면 북극은 연중 얼어 있는 얼음바다다. 여름(9월)에는 해빙 면적이 400만 ㎢ 정도지만 겨울(3월)에는 약 1300만 ㎢까지 늘어난다. 해빙의 두께도 2~5m 정도로 평균 1m 정도인 남극에 비해 훨씬 두껍다.
 

윤호일 극지연 선임연구본부장은 “제2의 쇄빙선은 아라온호보다 쇄빙 능력을 2배 높인 1만2000t급이 될 것”이라며 “아라온호가 1m 두께의 얼음을 시속 3노트로 깬다면 제2의 쇄빙선은 2m 두께의 해빙을 시속 3노트로 깨며 나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승선 인원도 아라온호보다 35명 많은 120명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극지에 도착해서 탐사를 벌일 때 유용한 운송수단인 헬기도 1대에서 2대로 늘렸다. 윤 본부장은 “제2의 쇄빙선 건조 과정에서 쇄빙설계, 내빙설계 등 관련 기술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북극 전용 쇄빙선이 생기면 북극 자원 탐사와 기후변화 연구 등도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북극 전용 쇄빙선 건조 경쟁 치열

현재 세계적으로 쇄빙선을 가장 많이 보유한 나라는 러시아다. 러시아는 총 36척의 쇄빙선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 중 16척이 북극 전용이다.

 

캐나다 역시 북극 전담 쇄빙선 6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0년 취항을 목표로 일곱 번째 쇄빙선을 건조하고 있다. 우리나라처럼 쇄빙선이 1척인 독일과 중국은 북극 전용 쇄빙선 건조에서 앞서가고 있다. 독일은 2만7000t급 초대형 쇄빙선을 2019년 완공할 예정이며 중국은 지난해 기본설계를 마치고 올해 건조에 들어갔다.
 

제2의 쇄빙선 건조에는 약 2800억 원이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조만간 예비 타당성 조사를 거쳐 예정대로 진행된다면 2016년 기본설계를 마치고 2019년에는 쇄빙선이 모습을 드러낼 수 있다. 남상헌 극지연 감사부장은 “2020년 7월 시운전을 마치고 그해 12월 취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신선미 기자 vamie@donga.com

 

 

"from past to future"
construction news
conpaper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