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시위는 왜 하나? 'Hong Kong's Pro-Democracy Movement' VIDEO

 

source photoblog.nbcnews

 

 

1. 홍콩은 어떤 나라인가?

아시아 금융 중심지이자 무역의 중심, 화려한 스카이라인과 ‘쇼핑천국’으로도 널리 알려진 홍콩은 사실 알고 보면 기구한 팔자를 지닌 도시다.

 

빅토리아산 정상에서의 바라본 홍콩

 

flag

 

세계에서 홍콩만큼 팔자가 기구한 도시도 드뭅니다. 탄생부터 그렇습니다. 아편전쟁의 산물입니다. 이 전쟁에서 진 중국이 영국에 홍콩섬을 강제로 빼앗기면서 도시가 시작됐습니다. 역사상 가장 추악하고 부도덕했던 전쟁의 사생아인 셈입니다.중국은 이후 2차 아편전쟁에서도 패배하면서 현재 홍콩의 도심인 주룽 반도를 분할해줬습니다. 그리고 1898년 2차 베이징 조약을 통해 지금 면적의 90%를 이루는 신제와 부속 도서를 99년 기한의 조차지로 내놓으면서 홍콩이 완성됐습니다. (SBS ‘월드리포트’ 9월2일)

 

 

2. 왜 ‘민주화 시위’인가?

시위에 나선 시민들은 ‘민주주의’를 보장하라고 외쳤다. 시위에 참여한 한 대학생은 다음과 같이 호소했다.

 

당신은 민주주의 국가에서 태어났을지도 모르겠다. 태어날 때부터 민주적인 선거가 보장되고 자유롭게 투표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는지도 모른다. 우리는 그렇지 않다.

우리는 진정한 민주주의를 원한다. 헌법 개정을 위한 국민투표를 원한다. 그것뿐이다. (허핑턴포스트코리아 9월29일)

 

이 대학생이 말한 ‘민주적인 선거’는 2017년에 열릴 예정인 홍콩 행정장관(행정수반) 선출 선거를 말한다. 홍콩 정부의 대통령격인 행정장관을 뽑는 선거는 그동안 간선제로 치러져왔다. ‘체육관 선거’였다는 얘기다.

 

2012년 임기 5년의 4대 행정장관에 선출된 렁춘잉은 1200명의 선거인단이 뽑았다. 선거인단 선출에 참여한 유권자는 25만명으로, 그해 홍콩 유권자 347만명의 10%에 못미쳤다. 2002년 행정장관에 연임된 둥젠화(董建華)는 당시 지지율이 10%에 못 미쳤지만 중국의 지지 덕에 당선됐다. (경향신문 8월27일)

 

2017년 선거는 사상 처음으로 직선제로 치러진다. 투표권을 가진 모든 홍콩 시민들이 직접 뽑는다는 얘기다. 그런데 왜 여전히 홍콩 시민들은 ‘민주주의를 원한다’고 하는 걸까?

 

중국 정부가 입후보자의 자격을 ‘친중국 인사’로 제한했기 때문이다

 

 

 

3. 홍콩 시민들은 무엇을 두려워하나?

시위에 나선 홍콩 시민들을 인터뷰한 외신 보도를 보면, 이번 시위가 단순히 2017년 선거 때문만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전사'가 있다.

 

1997년 영국으로부터 홍콩의 주권을 반환받을 당시 중국은 '일국양제'(一國兩制) 원칙하에 50년간 홍콩의 기존 체제 유지와 자치권 보장을 약속했다.

 

그러나 이후 사회 각 분야에서 빠른 속도로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일국양제 원칙이 훼손되고 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중국은 2003년에는 홍콩판 국가보안법 제정을 추진하다 수십만 명이 거리 시위에 나서자 포기했고 2012년에는 국민교육 과목을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려다 ‘정치적 세뇌’라는 반발에 부딪혀 역시 지정 계획을 포기했다.

두 사안 모두 결국 성사되지는 못했지만, 홍콩 사회에 중국 당국이 홍콩의 사회·정치 체제에 개입하려 한다는 불안감이 커지는 계기가 됐다. (연합뉴스 9월30일)

 

중국 정부가 지난 6월 발간한 ‘홍콩백서’라는 책은 홍콩 시민들의 불안을 더 자극하는 계기가 됐다.

 

백서는 “헌법과 홍콩기본법이 규정하는 특별행정구 제도는 특수한 관리제도로 중앙 정부가 홍콩특별행정구의 전면적인 관할권을 행사한다”고 밝혔다.

이어 관할권과 관련, “중앙이 직접 행사하는 권력이 존재하며 홍콩특별행정구가 법에 의해 고도의 자치를 시행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중앙이 감독권을 갖는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6월10일)

 

4. 젊은 층의 참여가 높은 이유는?

이번 시위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학생들의 참여가 많다는 부분이다. 홍콩 대학생들은 지난 22일 수업을 거부하는 동맹휴업투쟁에 나섰고, 곧바로 중·고등학교 학생들도 수업거부 운동에 동참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홍콩 시위에서 드러난 ‘세대 간 갈등’을 소개했다.

 

28일(현지시간) 미국 경제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대학생들은 취업 문제, 치솟는 집값, 중국 현지 인력들과의 경쟁 등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해 불만이 커지고 있는데 반해 중국의 경제 성장을 바탕으로 사업을 일군 홍콩 구세대들은 민주화 시위로 자칫 중국과의 경제 협력에 금이 갈까봐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구세대들은 전통적으로 국가 발전을 위해 경제를 우선 순위에 둬 왔던 홍콩이 정치 문제에만 집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데일리 9월29일)

 

보도에 따르면, 홍콩의 기성세대들은 그동안 중국의 고도성장에 힘입어 사업을 키워왔다. 홍콩이 중국에 반환되자 이들은 더 큰 사업 기회를 중국에서 발견했고 부를 축적했으며, 홍콩으로 중국의 자본이 몰려든 데 따른 부동산 가격 상승의 혜택을 누렸다. 이들은 당연히 '현상유지'를 바란다.

 

반면 젊은 층은 정반대의 상황에 놓여 있다. 부모 세대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주택 가격은 까마득하게 오른 반면 일자리는 줄어들었다는 것. 이 같은 세대 간의 갈등은 이번 사태에 대한 여론조사에서도 나타난다.

 

 

5. 앞으로 어떻게 될까?

앞으로 사태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예측하기는 쉽지 않다. 일단 중국 정부의 입장이 워낙 강경하다는 문제가 하나 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9일 "중앙정부는 홍콩에서 법질서와 사회안녕을 깨트리는 위법행위에 강력히 반대한다"면서 "우리는 특구정부의 '의법처리'를 충분히 신뢰하며 굳건히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9월30일)

 

중국정부가 쉽사리 물러설 수 없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중국은 거꾸로 홍콩의 민주화 요구를 잔뜩 경계합니다. 이런 민주화 움직임이 소득 수준이 높아진 중국 본토의 다른 도시로 옮겨 붙을 수 있다고 내심 걱정합니다. 공산당 1당 지배체제에 시비를 걸 빌미가 될 수 있습니다. 게다가 ‘하나의 중국’이라는 원칙이 흔들리면 소수 민족 문제에도 악영향을 미칠지 모릅니다. 지역에 대한 통제력 약화가 도미노처럼 번져나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SBS ‘월드리포트’ 9월2일)

 

실제로 홍콩 시위가 격화되자 대만은 즉각 우려의 뜻을 나타냈다.

 

대만도 홍콩 시위를 거들고 나섰다. 마잉주(馬英九) 대만 총통은 29일 "중국 당국은 홍콩 시민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평화적으로 시위를 다뤄야 한다"고 말했다. 대만은 중국이 '일국양제(一國兩制·하나의 국가 두 체제)'를 내걸고도 홍콩의 자치권을 침해한다고 보고 이 모델을 대만과의 통일 방식에 적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갖고 있다. (조선일보 9월30일)

 

또 다른 문제는 세대 간의 갈등에서도 나타나듯 시위를 지지하는 홍콩 시민들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는 것이다.

허핑턴포스트코리아  | 작성자 허완

 

 

Arts & Culture
CONPAPE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