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조선 초격차 기술 개발에 역대 최대 2600억원 투입
* 초격차 기술(Super Gap Technology)
기술 격차가 큰 분야에서 선도적으로 개발한 기술을 말합니다. 국가전략기술, 10대 국가필수전략기술 등으로 분류되며, 국가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연구개발이 이루어집니다.
초격차 기술의 예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바이오
우주항공·해양
수소
사이버보안
인공지능(AI)
차세대통신
첨단로봇·제조
양자
초격차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R&D) 자금 투자, 고급 인력 양성, 국제협력 등이 필요합니다.
AI
친환경 선박 1700억, 선박 건조 공정 디지털전환 700억,
자율운항선박 등 200억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K-조선 경쟁력 확보에 지난해보다 40% 증액한 2600억 원을 투자한다고 11일 밝혔다.
지난해 조선 3사는 13년 만에 동반 흑자를 기록하는 등 업황이 개선되고 있으나, 조선업의 지속 가능한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초격차 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HlEFh/btsMfYuIAgf/YaKJNSa9OtSgDKbT0XKhyK/img.jpg)
산업부는 지난해 7월 친환경·디지털·스마트 3대 분야를 중심으로 초격차 기술 확보 로드맵인 'K-조선 초격차 비전 2040'을 발표했으며,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올해는 2600억 원 중 친환경 선박에 1700억 원, 선박 건조 공정 디지털전환에 700억 원, 자율운항선박 등에 200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오는 12일 신규 R&D 1차 지원과제를 공고한다.
이번 신규과제는 17개(200억 원 규모)이며 암모니아 추진 선박, 전기 추진 선박, 풍력보조 추진장치 등 친환경 기자재, 공정 혁신을 위한 협동 로봇 개발, 조선소-협력사 간 협업플랫폼 개발을 중심으로 추진한다.
특히, 암모니아 추진 선박은 온실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미래 선박으로 LNG선을 이을 차세대 먹거리로 집중 육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산업부는 암모니아 연료분사 시스템·누출 감지 및 처리 시스템·배기가스 후처리 시스템 등 핵심 기자재 개발을 신규로 지원하고, 세계 최초로 암모니아 연료공급 전용 선박 건조 사업도 착수한다.
또한, 고전압 직류시스템 등 중대형 전기 추진 선박 핵심 기자재와 선박 풍력 보조 추진 장치(윙세일), 선박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처리용 기자재 개발에도 신규 지원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fecI5/btsMeMWsTZh/uCfulJTvAAipWz0sSicukk/img.jpg)
이어서, 인력 의존도가 높은 공정의 디지털 전환도 적극 지원하기 위해 고속 레이저 절단 시스템, 선박 블록 내부 자율 이동형 용접 로봇, 두꺼운 철판의 연속 용접 협동 로봇 개발에 착수한다.
이와 함께, 조선 협력사 전용 디지털 생산관리·계획 시스템과 조선소-협력사 간 협업플랫폼 개발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조선소의 생산성 향상, 안전사고 예방, 공정의 지능화를 도모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해양산업기술개발사업 신규 지원과제 상세 내용과 양식은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IRIS 사이트(https://www.iri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산업정책관 조선해양플랜트과(044-203-4334)
정책브리핑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