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 없이 살 빠진다?”...나중에 이 병이 Body weight, cholesterol level changes linked to future dementia risk, research suggests

 

“나이들면서 이유없이 살 빠진다?”…10년 후 ‘이 병’ 경고?

진단 받기 7~10년 전부터 BMI 낮아지고 허리둘레 작아져

 

다이어트를 하지 않았는데도 체중이 줄어드는 것은 10년 이상 후에 찾아올 치매의 경고 신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의학협회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치매를 앓고 있는 사람들은 비슷한 연령대의 치매가 없는 사람들에 비해 진단을 받기 전 몇 년 동안 체중 감소 폭이 더 큰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어트를 하지 않았는데도 체중이 줄어드는 것은 10년 이상 후에 찾아올 치매의 경고 신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호주 모나쉬대 연구진은 치매와 주요 인지 문제가 없고, 심혈관 질환이나 신체장애가 없으며, 2010년 미국과 호주 전역에서 시작된 대규모 건강 연구에 등록한 65세 이상 5400명의 건강 상태를 최대 11년간 추적했다. 이 기간 1078명에게 치매가 발병했다.

 

 

연구 결과 치매 환자들은 기억력 저하 질환 진단을 받기 약 7년 전부터 체질량지수(BMI)가 낮은 편이었다. 치매 환자들의 허리둘레는 치매 진단을 받기 약 10년 전부터 작았다. 치매 환자들은 체중 감소율이 상당히 높았고, 치매 진단을 받지 않은 사람들보다 체중이 더 빨리 감소했다.

 

연구진은 “식욕을 조절하는 뇌 영역과 신체가 음식을 태우는 속도를 조절하는 뇌 영역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라며 “체중 감량이 치매의 초기 단계에 있다는 위험 신호일 수 있는 이유이다”라고 설명했다. 치매 초기 단계에 있는 사람들의 경우 뇌에 문제가 생겨 식료품을 사거나 식사를 준비하고 요리하는 계획을 세우기 어려울 경우 체중이 감소할 수도 있다.

 

연구 저자인 지무 우 박사는 “나중에 설명할 수 없는 체중 감소를 겪는 사람이 일찍 의사의 도움을 구해 더 빨리 치료를 받을 수 있고, 치매 진행 속도가 느려지면 삶의 질이 더 좋아질 수 있어 몇 달 또는 몇 년을 더 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말했다. 우 박사는 “체중 감량만으로는 치매가 생긴다는 보장은 없지만,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고 규칙적인 신체 활동, 인지 활동을 유지하면 뇌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주현 기자 sabina@kormedi.com 코메디닷컴

 

Body weight, cholesterol level changes linked to future dementia risk, research suggests

https://www.mcknights.com/news/body-weight-cholesterol-level-changes-linked-to-future-dementia-risk-research-suggests

KCONTENTS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