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부가산업 비중 중국에 역전 당해


한국, 고부가산업 비중 중국에 역전 당해


정보통신기술(ICT), 항공우주, 제약 등 분야

수출경쟁력과 고용창출도 주요국에 비해 저조


현대경제연구원,  

"고부가산업, 성장잠재력 제고로 경제기여도를 

높여야 한다" 보고서 발표


   한국의 고부가가치 산업 성장력이 둔화하며 최근 국내총생산(GDP) 대비 고부가산업 비중이 중국에 역전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경쟁력과 고용창출도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6일 발표한 "고부가산업, 성장잠재력 제고로 경제기여도를 높여야 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고부가산업 부가가치는 2014년 5000억달러로 정점을 찍고 2015년(-1.2%)과 2016년(-0.7%) 2년 연속 감소했다.


주요국 부가가치산업 비교표/한국경제

edited by kcontents


고부가산업은 정보통신기술(ICT), 항공우주, 제약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정한 지식기반제조업, 지식기반서비스업을 뜻한다.




GDP 대비 고부가산업 비중도 2015년 35.6%에 이르렀다가 2016년 34.6%로 1%포인트 떨어졌다. 2016년 기준으로 이 비중은 미국이 38.3%, 일본 36.1%, 독일 35.2%로 한국보다 높다. 중국은 2012년부터 이 비중이 급격히 확대돼 2016년에는 35.2%로 한국을 추월했다.


ICT, 제약, 항공우주 등 첨단기술 제조업의 연구개발(R&D) 투자 증가율은 2014년까지 10% 안팎을 기록했다가 2015년 -4.0%로 급락했다. 미국, 독일에서 첨단기술 제조업 R&D 투자가 늘어나는 모습과 대조적이다.


 

한국경제

edited by kcontents


한국 고부가 제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2014년 6.4%에서 2016년 5.9%까지 하락했다. 고용창출력도 낮았다. 고부가 직종으로 꼽히는 "관리자, 전문가 및 기술자" 고용 비중은 2012년 22.4%에서 2016년 21.6%로 낮아졌다.


이장균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장기적이면서 거시적인 시야에서 민간부문의 고부가 혁신투자를 촉진하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며 "전통 주력기업의 혁신을 유도하고 기존 기업의 창업 활성화 정책,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역량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경민 기자 km@fnnews.com 파이낸셜뉴스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