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뉴딜] 막판까지 고심한 4.1조 사업 뭐였나?

[도시재생 뉴딜] 

막판까지 고심한 4.1조 사업 뭐였나?


서울 동대문·성동구 도시재생 사업 배제 

부동산 과열 기름 우려


일대 중고차 매매센터 현대화 사업 등 계획

1.6조 규모 종로 3가 세운상가 일대 재생사업도 검토 

그러나 제외


   지난달 발표된 '2018년 도시재생 뉴딜 사업' 후보지로 꼽혔다가 막판 배제된 사업지는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동·장안동, 성동구 용답동 일대에서 추진하려던 자동차산업 재생과 종로3가 일대 도심산업 재생 사업이다. 총 사업비 6조원에 육박하는 규모의 사업지였지만, 서울 지역의 부동산 과열에 기름을 부을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올해 최종 명단에서는 제외되게 됐다.


                    도시재생 뉴딜사업 후보지였던  동대문구·성동구 지역의 사업 개요

                       edited by kcontents


단일 사업 규모로 전국에서 최대규모였던 후보지는 동대문구와 성동구 일대 개발 계획으로, 총 4조1535억원의 예산이 책정돼 있었다. 민간이 2조3174억원을 투자하고 공공기관 예산(9098억원), 지방비(6468억원), 부처연계 예산(2533억원), 재정보조(250억원), 기금(11억원) 등이 투입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사업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신청·제안한 경제기반형 사업으로 총 50만8390㎡ 규모의 동대문구·성동구 일부 지역에서 추진하려 했다. 중고차 매매센터 현대화 사업 등을 통해 쇠퇴한 자동차 산업을 재생하고, 물재생센터 현대화 유휴부지에 스마트모빌리티 신산업 경제거점을 조성한다는 계획이 골자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동차산업재생 ▲신산업거점구축 ▲도시공간재생 ▲생활인프라 강화 등 단위사업으로 구분된다. 국립농수산물품질관리원 등 노후공공청사 복합개발사업 2개소와 정크아트거리 조성사업 등 가로환경개선사업 5개소도 포함됐다. 이 사업으로 LH는 노후청사복합개발 등 건설단계 3만개, 센터 등 운영단계 63개 등 총 5만개의 일자리 창출효과를 기대했으며, 생산유발 7조6000억원, 부가가치유발 2조9000억원, 고용유발 3만개 등 파급효과를 전망했다.


사업비 규모가 뒤를 잇는 사업은 종로구 종로3가 43만9356㎡ 규모, 세운상가 일대를 아우르는 도심산업 재생사업이다. SH공사가 신청·제안한 것으로 총 사업비는 1조6632억원 규모다. 세운상가 일대를 대상으로 생활인쇄, 인쇄R&D, 인쇄산업집적, 문화복합시설 등 4개 테마의 단위사업으로 구성된 도심산업 재생을 추진하는 게 골자다.


아울러 SH공사는 금천구 독산1동 일대에서 1313억원 규모의 도심제조업·우시장 현대화 등 재생프로젝트도 이번 뉴딜 사업지로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정부는 이들 3개 사업지를 도시재생 뉴딜 사업사업지로 지정할 경우 국지적인 부동산 과열 현상이 불가피 할 것으로 우려, 최종 명단에서 제외시켰다. 특히 동대문구와 종로구는 지난달 27일 정부가 '투기지역'으로 신규 지정한 곳으로, 최근 들어 가파른 집 값 상승이 나타났던 지역이다. 이들 지역은 올해(8월 27일 기준) 들어서만 집 값이 각각 6.09%, 5.53% 상승한 바 있다.


그러나 올해 선정된 사업지 가운데 소규모 사업을 중심으로 중랑·서대문·강북·은형·관악·동대문·금천구 등 서울 7개 지역이 선정사업지로 꼽혔다. 일반 근린형, 주거지원형, 우리동네살리기 등 지역 인프라를 개선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 사업지다. 




이와 관련, 국토부는 "서울시의 경우, 일부 지역이 투기지역으로 추가 지정되는 등 부동산 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감안해 중·대규모 사업은 배제했다"면서 "나머지 소규모 사업 7곳도 향후 부동산 시장 과열 조짐이 나타나는 경우 활성화 계획 승인을 보류하고 사업 추진시기를 조정하거나 선정을 취소하는 것을 조건으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아시아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