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재개발 수주 경쟁 한풀 꺾이며 '수의계약' 사업지 증가
재건축·재개발 수주 경쟁 한풀 꺾이며 '수의계약' 사업지 증가
수의계약 요건 완화
대어급 사업지 전보다 줄어들어
재건축·재개발 수주 경쟁이 한풀 꺾이면서 수의계약으로 시공권이 가려지는 사업지가 늘고 있다.
올해 들어 수의계약 요건이 완화된 데다 건설사들이 과열 경쟁을 펼칠 만한 대어급 사업지가 전보다 줄어들면서 수의계약으로 시공사를 정하는 조합이 잇따르고 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해 시공사를 선정한 정비사업지는 61곳으로, 이중 절반이 넘는 34곳의 사업지가 수의계약으로 시공사를 선정했다.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아파트 단지. /스카이데일리
edited by kcontents
조합원 찬반 투표로 진행되는 수의계약 방식은 타사와 경쟁을 벌이지 않아 불필요한 절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거론된다. 반면 건설사간의 경쟁이 없어 사업제안 조건이 건설사에 유리한 쪽으로 기울 수 있어 사업 추진 과정에서 조합원들과 마찰을 빚는 경우가 잦다는 것은 단점으로 꼽힌다.
최근 시공사를 선정한 반포주공1단지 3주구 재건축의 경우 조합원 찬반투표로 현대산업개발을 시공사로 낙점했다. 3주구는 지난해 11월부터 시공사 선정을 위한 경쟁입찰에 나섰지만, 두 번 연속 현대산업개발만 단독 응찰해 유찰됨에 따라 최근 수의계약으로 시공사를 정한 것이다.
이 단지는 지난 4월 현대산업개발을 수의계약 우선협상대상자로 전환해 협상을 진행했지만, 특화설계 무상제공 내용이 빠지고 공사범위가 누락되는 등 갈등을 겪으며 시공사 선정이 상당 기간 연기되기도 했다.
지난해부터 정부가 재건축 수주 비리 규제를 강화하며 건설사들이 전보다 공격적인 수주 경쟁을 피하는 분위기도 강해지고 있다. 지난해까지 도시정비사업 수주 물량이 많은 건설사 중에는 올해 수주 숨고르기에 들어간 곳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지난 2월 도시정비법 개정안(제29조)이 시행되면서 통상 3회 이상 유찰되면 수의계약을 진행하던 방식이 2회 이상 유찰되면 수의계약을 할 수 있도록 기준이 완화된 것도 수의계약이 늘어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부산 영도구 동삼1구역 재개발 조합은 최근 두 차례나 입찰 공고를 냈지만 시공사를 정하지 못해 조만간 수의계약 방식으로 시공사를 결정할 계획이다. 대구 서대구지구 재개발 사업은 올해 6월 유찰 끝에 대림산업과 수의계약을 맺었다.
이밖에 지난달 28일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1-1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도 시공사 선정 총회 결과 두산건설과 쌍용건설 컨소시엄의 수의계약 안건이 무리없이 통과됐다. 앞서 노량진 2구역 역시 지난 5월 단독으로 사업참여의향서를 제출한 SK건설이 시공사로 선정됐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도시정비사업 현장 수가 줄면서 사업성이 뛰어난 곳을 제외하고는 수주 경쟁이 한풀 꺾인 상황”이라면서 “입찰이 연이어 무산돼 사업에 제동이 걸린 현장들은 수의계약으로 돌아서고 있다”고 말했다.
우고운 기자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8/10/2018081002389.html#csidx617d4c906d974f4b3e95f4b7f2d2eca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