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부등침하로 '부실 매립' 의혹 부산신항 부지는 건설폐기물 무단 매립지
급격한 부등침하로 '부실 매립' 의혹 부산신항 부지는 건설폐기물 무단 매립지
2013년 배후단지 조성 때
폐기물 5만여 t 매립 적발
시공업체 벌금 부과받아
적발 물량 이상 투기 가능성
신항 부실 매립 의혹 증폭
김영춘 해수 "책임 소재 가릴 것"
급격한 부등침하로 '부실 매립' 의혹이 이는 부산항 신항 일대(본보 18일 자 1면 등 보도)에 과거 다량의 건설폐기물이 무단 매립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현재 부등침하 현상이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부지에 폐기물이 묻혔던 것으로 드러나, 부실 매립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23일 경남 창원해양경찰서에 따르면 2013년 부산 신항 항만배후단지 조성 공사 과정에서 나온 건설폐기물 5만여t을 무단 투기한 사건(본보 2013년 7월 3일 자 1면 보도)의 발생 장소가 웅동 배후물류단지 내 A업체 부지로 확인됐다. A업체 부지는 창고 내 최대 1m로 추정되는 급격한 부등침하가 발생한 곳이다. 보수공사 비용만 10억 원에 이르는 등 신항 일대 부등침하 현상이 가장 심하다. 업체 측은 화물이 기울어진 채 적재돼, 거래처와의 계약이 무산되는 등 영업 손실을 보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부산항 신항 항만배후단지 부등침하 발생 장소가 2013년 드러난 건설폐기물 무단 매립 장소와 일치해 부실 매립
의혹이 새로 일고 있다. 사진은 2013년 창원해경이 무단 매립 건설폐기물을 확인하는 모습. 부산일보DB
창원해경에 따르면 웅동 제1단계(1공구) 항만배후단지 조성 공사를 담당한 B건설사 현장대리인 등은 2011년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2개월간 펄과 섞인 건설폐기물 5만여t을 A업체 부지에 무단 매립한 혐의를 받았다. 경찰 조사 결과 이들은 비용 절감과 공사 기간 단축을 목적으로 이 같은 불법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해양수산부에서 해경 조사 결과가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하는 등 논란이 일었지만, 창원지법은 현장대리인 등에게 유죄를 선고하고, 시공업체에 벌금 1000만 원을 부과했다. 무단 매립된 건설폐기물은 항만배후단지 조성 공사 과정에서 사용된 폐플라스틱 관(PBD)과 합성수지 소재의 저면 매트 등이 대부분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2013년 건설폐기물 무단 매립과 이번 신항 일대 부등침하가 연관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인다. 적발된 건설폐기물량 이상이 웅동지구 등 신항 일대에 광범위하게 매립돼 부등침하를 가속화시킨 것 아니냐는 것이다. 해경과 환경단체 등도 당시 건설폐기물이 무단 매립된 곳에 추후 지반 침하 등 2차 피해 발생을 우려했었다. 창원해경 관계자는 "사건 이후 지자체가 기술적으로 가능한 선까지만 불법 폐기물을 걷어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부산신항 매립 모습/환경운동연합
edited by kcontents
동아대 기성훈(건축공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폐플라스틱 관 등 폐자재를 아무렇지 않게 무단으로 묻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로 인해 최근 들어 싱크홀이라는 지반 함몰이 생기고 있다"면서 "특히 부산은 해수 침투가 땅 아래서 일어나기 때문에 지반 이완이 가속화할 수 있고, 지반 내 빈 곳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항 신항 웅동배후단지의 동시다발적인 지반침하 현상과 관련,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은 "책임소재를 분명히 가리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장관은 24일 국회 업무보고에서 더불어민주당 윤준호(부산 해운대을) 의원이 부산항 신항 지반침하 현상에 대한 대책을 묻자 "이번 침하현상에 대해 보고를 받고 이를 해수부 본부에 직접 조사해 보라고 해서 조사가 진행 중"이라며 "정밀 조사를 해서 원인을 파악하고 책임 소재도 분명히 가리겠다"고 말했다.
김종우·이승훈 기자 lee88@busan.com 부산일보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