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시장 '새 아파트' 각광..."5년여간 35% 올랐다"
주택 시장 '새 아파트' 각광..."5년여간 35% 올랐다"
'삶의 질' 중요
교통, 주변 환경과 함께 주택의 중요 선택 기준 자리잡아
주택 시장에서 '새 아파트'가 각광 받고 있다. 최근 주택 수요자들이 '삶의 질'을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교통이나 주변 환경과 함께 새 아파트 여부가 주택의 중요 선택 기준으로 떠오르고 있는 모습이다. 새 아파트 선호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전체 아파트 가격 상승세 역시 새 아파트가 견인하고 있다.
19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4년 1월부터 올해 5월까지 전국 아파트 매매 가격은 평균 26.13% 상승했다. 입주 5년 이하 새 아파트는 평균 35.38% 상승했다. 전체 평균을 9.25%포인트 웃도는 수치다. 같은 기간 입주 6~10년 차 아파트(18.39%)와 10년 초과 아파트(26.95%)와 비교해도 입주 5년 이하 새 아파트의 상승폭이 더 크다.
Deskgram
edited by kcontents
전세 가격도 비슷한 흐름이다. 입주 5년 이하 아파트의 전세 가격 상승률은 43.27%로 입주 6~10년차(34.80%), 10년 초과(27.56%) 아파트보다 상승률이 높았다.
평균 시세 역시 새 아파트일수록 높았다. 전국 5년 이하 새 아파트의 3.3㎡당 매매 시세는 1373만원으로 입주 6~10년 차(1346만원), 10년 초과(1006만원) 아파트보다 비쌌다. 주목할 점은 새 아파트와 낡은 아파트 가격 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5년 이내 아파트와 10년 초과 단지(재건축 제외) 3.3㎡당 가격 격차는 2014년 282만원에서 올해 5월 말 367만원으로 커졌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새 아파트 선호 현상이 새로운 주거 트렌드와 공동주택 건축 환경의 변화, 아파트 상품의 질적 향상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주택 수요자들은 아파트를 실거주 목적으로 구입하려는 경향이 강해졌다. 과거에는 낡은 아파트라도 재건축 등 향후 가치를 내다보며 거주했지만 최근에는 삶의 질을 중시하는 트렌드가 확산하면서 새 아파트 선호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구축이라고 모두 재건축 가능성이 큰 것은 아니라는 점도 영향을 줬다. 1970~1980년대 저밀도ㆍ저층 아파트의 경우 연식이 오래될수록 가격이 높았다. 그러나 이후 지어진 아파트는 대부분 중층 이상 고밀도로 지어져 재건축 추진이 어렵다는 점에서 낡은 아파트 인기가 떨어지고 있다. 재건축이 어렵기 때문에 새 아파트 몸값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아파트 상품의 질적 향상 역시 새집 선호의 원인이다. 주택 수요자의 눈높이에 맞춘 설계뿐만 아니라 피트니스 센터, 골프 연습장 등 커뮤니티 시설을 단지 안에 갖춰 수요자 시선을 모으고 있다. 단지 내에서 여가 생활이 가능하도록 숲과 연못, 캠핑장 등을 갖춘 곳도 많다. 정보통신(IT) 기술 발달로 집 밖에서 냉난방 등 집안 상황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도 새 아파트의 장점이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 팀장은 "정부의 전방위 부동산 규제로 기존 주택 시장이 침체 국면에 접어드는 가운데 신규 분양 시장은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당분간 이 같은 현상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아시아경제]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