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친화형 선도 산업단지 6개 선정”

“청년 친화형 선도 산업단지 6개 선정”  


청년 일자리 창출의 가시적인 성과 조기 창출

 

➊ 금년 산단 환경개선에 국비(1,500억원) + 민간(6,000억원) 등 

총 7,500억원 투자 예상

➋ 스마트공장 구축, 혁신지원센터 설치, 기숙사 건설, 

통근버스 운행 등 패키지 지원

 

   산업통상자원부(백운규 장관)는 향후 3~4년간 어려운 청년고용여건을 감안하여 단기간 내 청년 일자리에 대한 가시적 성과창출을 위해 6.28(목) 청년 친화형 산업단지 6개를 최종 선정했다고 발표함

 

①서울디지털 국가산업단지, ②반월‧시화 국가산업단지, ③구미 국가산업단지,

④창원 국가산업단지, ⑤익산 국가산업단지, ⑥광주본촌 일반산업단지

 

금번 선정된 6개 산업단지는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에서 청년 일자리 창출 가능성, 가시적 성과 조기창출 가능성, 산업단지별 특성(신산업 집적형, 주력산업 집적형, 중소기업 밀집형), 지역균형발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현지실사와 정량‧정성평가를 거쳐 선정하고, 관계부처 T/F를 통해 최종 확정함


서울디지털 국가산업단지 모습/네이버블로그 리치맨


현재 산업단지는 청년 인력에 대한 수요대비 공급 부족으로 청년 일자리창출 측면에서 잠재성이 큼

* 산단 근로자 비중(‘16) : (15~29세 수요) 17.9% > (공급) 13.9%, △ 4.0%p

(30대 수요) 47.3% > (공급) 33.8%, △13.5%p

* 청년(20~29세)층의 취업 비중(‘16): (전체 제조업) 17%, (IT산업) 23%


이에 ‘청년 일자리대책’ 후속과제로 3.22일 발표한 ‘청년 친화형 산업단지 추진방안’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조치로 추진하게 된 것임


 

6개 산업단지에 대해서는 금년에 산업단지별 구체적 사업 수요 등을 반영해 산단환경개선펀드 국비 1,500억원(본예산 500억 + 추경 1,000억원), 민간자금 6,000억원 유치 등 총 7,500억원을 창업과 근로‧정주환경 개선 등에 우선 지원할 예정임


산업단지 관련 부처들간 협업을 통해 부처 지원사업들을 산단 수요에 맞춰 묶어서(패키지화) 지원함으로써 근로․정주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임

* 예시: (산업부) 지식산업센터(舊 아파트형 공장), R&D지원 등, (국토부) 도로‧주차장 정비 등, (중기부) 스마트공장 보급, (고용부) 기숙사․통근버스 지원 등

 


그간 산업단지의 특성과 여건에 상관없이 개별적․분산적으로 지원하던 방식에서 부처간 협업을 통해 산업단지 유형별 맞춤형으로 패키지 형태의 지원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지원의 효율성을 높여 조기에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또한, 선정된 6개의 산업단지에 혁신성장촉진지구, 복합구역 등을 신규로 우선 지정하고, 저렴한 청년 창업 임대공간과 편의‧지원시설 등을 함께 구축하는 휴폐업공장 리모델링 사업도 신규로 추진하여 지원할 예정임 

산업부

케이콘텐츠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