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재건사업 정책금융 지원 통해 중동 수주활로 뚫자


이라크 재건사업 정책금융 지원 통해 중동 수주활로 뚫자

해외건설협회 아·중동실장 김종국


“고유가 무색…해외 수주 먹구름 여전”, “美 이란 제재에 발목 잡힌 건설업계”, “이란 악재에 '악'…건설업계, 해외수주 깊어진 한숨”, “해외건설, 이란 등 중동 악재로 수주 비상…‘300억달러 달성 요원’” ....


일부 언론의 6월 첫 주 기사 헤드라인이다. 한결같이 해외건설 특히, 중동의 수주 감소를 우려하는 내용들이다.


 NewsX

edited by kcontents


하지만 중동 건설시장을 분석하는 필자는 비관적이지만은 않다고 생각한다. 국내외 기업들이 여전히 막대한 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중동 건설시장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복잡다기한 문제들로 인해 잠재력이 큼에도 불구하고 지난 수년간 문호가 굳게 닫혀 있었다가 최근 들어서 현안과제들을 극복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민생 안정과 경제·산업 발전을 적극 도모하고 있고, 국제사회도 적극적으로 후원코자 하는 에너지자원 부국이 있다면 상황이 더 달라질 것이다.


바로 최근에 최대 리스크 요인인 치안 불안 우려를 상당 부분 불식시키기 시작하면서 국제사회의 주목을 모으고 있는 중동의 에너지자원 부국 이라크를 두고 하는 말이다.


이라크는 세계 5위(약 1,400억 배럴)의 막대한 석유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정이 혼란한 틈을 타 창궐한 이슬람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에 의해 지난 수년간 극심한 고통을 겪었다. 15만여 호의 주택이 파괴됐을 정도로 민생과 경제는 큰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쉽게 해결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던 IS 사태도 이라크 정부와 국제사회의 협력으로 결국 4년여 만인 2017년 12월에 공식 종료되었다.


치안 불안이라는 최대 위협요인이 해소된 것을 계기로 이라크 정부의 정책적 지향점이 어느 곳에 맞춰질지는 자명하다. 바로 민생 회복과 경제 발전을 위한 각종 시설의 재건이다.


이라크 정부 발표에 의하면 재건사업을 위해 향후 10년간 단기 230억불, 장기 650억불 등 880억불이 필요하고, 주택 및 병원, 학교, 도로, 통신, 전력 등의 시설이 시급히 복구돼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사회도 이라크 재건을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 2018년 2월 중순에 쿠웨이트에서 개최된 이라크 재건 지원을 위한 국제회의를 통해 국제사회는 총액 300억불의 지원 의사를 표명했다. 각국이 이라크의 잠재력과 자국 기업의 진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적극적인 지원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보인다.


물론 국제사회도 테러의 위협에서 막 벗어나기 시작한 이라크의 진출환경이 녹록지 않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동시에 자국 기업들의 진출 촉진을 위해 필요한 지원 수단이 무엇인지도 분명히 파악하고 있다.




바로 정책자금의 제공을 통한 진출 지원이다. 정책 금융기관(ECA)과 보험기관 그리고 국제협력 전담 정부기관이 앞에서 끌고 상업 금융기관들이 동참하여 민간기업들의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에 반해 기업들의 이라크 진출 촉진을 위한 우리 정부의 지원은 아직은 미약한 편이며, 정책 금융기관들의 이라크 지원 의지도 소극적인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 해외건설 기업들이 과거에 성공적으로 수행한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민생 편의와 경제 발전에 기여한 점을 이라크 정부와 국민들이 여전히 높게 평가하고 있는 점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생각된다.


해외건설 수주환경이 전반적으로 침체된 상황에서 지금부터라도 재건사업으로 주목받는 이라크를 통해 활로를 뚫고자 하는 우리 기업들을 위해 우리 정책 금융기관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를 기대해 본다.

데일리해외건설  icdaily@icak.co.kr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