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스마트 원전 수출 청신호..."주원전은? EXCLUSIVE: Saudi Arabia shortlists two sites for first nuclear power project

 

사우디 스마트 원전 수출 청신호...."주원전은?


'건설 전 설계(PPE)' 오는 11월 마무리

계약 체결 사전 준비 움직임도

한국과는 2016년 11월 MOU체결

탈원전 정책 여파로 

수주 시 엄청난 계약 조건 붙을 듯


이와는 별도 추진 주원전 2기 건설,

원전 부지 선정과 안전 검토 제안서 제출 요청

움 휴와이드(Umm Huwayd), 크호르 듀웨이힌(Khor Duweihin) 

2개 지역 원전 부지 후보에 올라

미 웨스팅하우스, 러시아 로사톰, 프랑스 EDF 참여할 듯


  우리 기술로 만든 소형 원전인 스마트 원전의 사우디아라비아 수출에 청신호가 켜졌다. 사우디에 스마트 원전을 짓기 위한 사전 검토·분석 작업인 '건설 전 설계(PPE)'가 오는 11월 마무리되는 것에 맞춰 정부가 스마트 원전 수출 태스크포스(TF)를 발족시키는 한편 현안점검회의를 여는 등 계약 체결을 위한 사전 준비를 본격화하는 움직임이 포착됐다. 



EXCLUSIVE: Saudi Arabia shortlists two sites for first nuclear power project

http://conpaper.tistory.com/63159

edited by kcontents


원전 전문가들은 마지막까지 미국의 파상공세가 예상되지만 최근 우리 정부가 스마트 원전 수출에 적극적인 입장으로 돌아선 만큼 건설 계약 체결이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달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진규 1차관 주재로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원자력안전위원회 1급 공무원과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 한국수력원자력 부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스마트 원전 건설·수출 촉진을 위한 고위급 TF를 개최했다.


산업부도 최근 현안점검회의를 통해 스마트 원전 수출 후 일정에 대해 논의했다. 국내 대학 원자력공학과의 한 교수는 "과거 산업부는 스마트 원전 대신 중소형 원자로(SMR) 개발을 추진하면서 스마트 원전에 비판적인 시각을 갖고 있었다"며 "이랬던 산업부가 스마트 원전 수출을 위한 현안점검회의를 열었다는 것은 스마트 원전의 사우디 수출에 한 걸음 다가섰음을 보여주는 시그널"이라고 해석했다. 산업부 현안점검회의에서는 한수원과 산업체 등의 스마트 원전 건설 참여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긍구 원자력연구원 스마트개발사업단장은 "지난해 7월 사우디는 국가원자력프로젝트를 발족시켜 스마트 원전 건설을 명시했다"며 "국가 계획으로 스마트 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PPE가 끝나면 곧바로 계약 체결을 위한 준비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재주 원자력연구원 원장도 "여러 채널을 통해 확인한 결과 스마트 원전 건설에 대한 사우디 의지는 확실하다"며 "건설 계약을 따내면 1기당 1조원의 건설비용은 물론 요르단 등 잠재 수요국 수출까지 감안해 일자리 창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막판 변수는 미국이다. 미국은 자신들이 개발한 소형 원전을 사우디에 수출하기 위해 파상공세를 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 원자력 업체가 사우디 원전 수주 입찰 때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도록 우라늄 농축까지 허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최근에는 대형 원전 입찰 때 소형 원전을 포함시키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 원장은 "우리 정부의 의지가 강해 지금까지 해왔던 대로 차근차근 절차를 밟아 나간다면 미국의 공세가 크게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본다"고 잘라 말했다. 사우디가 한국형 스마트 원전 도입과 관련해 한국과 처음 의견을 교환한 것은 2012년 5월이다. 사우디 제안에 따라 한국 정부는 스마트 원전 협력 방안을 제시했고 이후 수차례 회의를 거쳐 2015년 3월 한·사우디 스마트 공동파트너십 추진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2015년 9월에는 PPE 협약을 마무리 지었다. PPE란 사우디 현지 기후와 특성에 맞는 스마트 원전을 지을 수 있도록 실제 건설에 들어가기 전에 스마트 원전 설계·예비안전성과 경제성 등을 분석하는 작업을 말한다. 올 11월까지 3년간 진행되는 PPE에 사우디는 1억달러를, 한국은 3000만달러를 지불했다.




순수 국내 기술을 이용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일체형·중소형·다목적 스마트 원전은 약 110㎿ 용량의 소형 원전이다. 일체형이란 증기발생기, 가압기, 원자로 냉각재 펌프 등 원전에 필요한 주요 기기를 하나의 원자로 압력용기 안에 설치한 것이다. 하 원장은 "해수담수화용으로 건설하면 스마트 원자로 1기로 인구 10만명 규모 도시에 전기(9만㎾)와 물(하루 4만t)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단장은 "인구가 한곳에 밀집되지 않거나 섬이 많은 나라의 경우, 송전망 구축에 과도한 비용이 소요될 수밖에 없어 스마트 원전과 같은 중소형 원전 도입을 희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원호섭 기자] 매일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