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화하는 서울 집값..."투기지역 vs 투기과열지구"


투기과열지구 투기지역 중복 지정 

서울 강남·서초·송파·강동·성동·노원 등 11개 구

아파트 매매가 대부분 하락세


   유례없이 강했던 8·2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 주택시장이 양극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투기지역과 그 외 지역 간에 집값이 상반된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다.


출처 동아일보

edited by kcontents


6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8·2 대책에서 투기과열지구와 투기지역으로 중복 지정된 서울 강남·서초·송파·강동·성동·노원 등 11개 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대부분 하락세를 타고 있다. 반면 투기과열지구로만 지정된 나머지 14개 구의 아파트값은 오름세를 유지하거나 보합세다.


서울 집값 상승세를 주도하다 8·2 대책에서 투기지역으로 묶인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는 이후 집값이 고꾸라졌다. 8·2 대책 시행 전인 7월31일 기준 주간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이 0.66%에 달했던 송파구는 8·2 대책 이후 8월7일 -0.05%, 8월14일 -0.14%, 8월21일 -0.05%, 8월28일 -0.04%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강남구도 같은 기간 아파트값 변동률이 0.42%에서 -0.02%, -0.08%, -0.05%, -0.07%로 하락 폭이 커지고 있다. 서초구는 8·2 대책 직전 0.24%에서 규제가 나온 뒤 -0.22%, -0.09%, -0.15%, -0.05%로 아파트값이 내려가고 있다. 강동구도 0.58%로 높았던 아파트값 오름세가 8·2 대책이 나온 뒤 -0.2%로 돌아섰고 이후에도 -0.11%, -0.11%, -0.04%로 계속 떨어지고 있다.



강남 지역 서남권 가운데 투기지역에 이름을 올린 양천·강서·영등포구도 비슷한 모습이다. 양천구는 8·2 대책 직전 0.38% 상승률을 보였다가 규제 발표 이후 -0.03%, -0.04%, -0.04%, -0.07%로 하락 폭을 키우고 있다. 영등포구도 이 기간 동안 0.25%에서 -0.02%, -0.02%, -0.01%, -0.02%로 아파트값 하락세를 이어갔다. 강서구 역시 0.37%였던 아파트값 상승률이 8·2 대책 시행 후 -0.02%, -0.01%, -0.01%, -0.01%로 내리막길이다.


강북권에서 투기지역으로 포함되며 주민들의 반발이 거셌던 노원구는 8·2 대책 이전 0.35%였던 아파트값 변동률이 대책 이후 -0.01%, -0.02%, -0.1%, -0.12%로 지난주 기준 서울 시내에서 가장 큰 하락 폭을 나타냈다. 성동구도 같은 기간 0.35%에서 -0.2%, -0.12%, -0.13%, -0.09%로 가파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용산구와 마포구는 투기지역 중에 아파트값이 하락하지 않고 보합세를 유지했다.




8·2 대책에서 투기지역으로 중복 지정되지 않고 투기과열지구로만 지정된 곳들을 살펴보면 대체로 아파트값이 오름세를 이어가거나 보합세를 나타내고 있다. 구로구는 8·2 대책 시행 직전 아파트값 변동률이 0.28%에서 대책 이후 0%로 내려간 뒤 0%, 0.03%, 0.05%로 서서히 오름세를 타고 있다. 금천구도 이 기간 동안 0.29%에서 0.03%, 0%로 내려갔다가 0.04%, 0.05%로 올랐다. 서대문구는 0.16%에서 0%로 내려갔다가 0%, 0.01%, 0.02%로 아파트값이 조금씩 꿈틀대고 있다. 성북구도 0.14%에서 0.03%, 0%로 내려갔다가 0.01%, 0.04%로 반등세다. 동대문구 역시 8·2 대책 전 0.17%에서 대책 후 0%로 내려간 다음 2주 연속 0%를 유지하다가 지난주 0.04% 상승했다. 은평구는 0.18%에서 0.02%로 내려갔다가 이후 0%를 유지하고 있다. 중랑구와 강북구 역시 0.16%에서 0%로 내려간 다음 쭉 그 자리다.


투기과열지구는 부동산 대책 가운데 가장 강력한 조치다. 전매 제한과 재건축 조합원 지위 양도 금지 및 주택담보대출 규제 등 여러 규제가 한꺼번에 가해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서울 시내에서 투기지역이라는 차별적 요소를 두면서 투기과열지구로만 지정된 지역들이 일종의 반사효과를 보고 있는 셈이다. 


출처 동아일보

edited by kcontents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부동산시장은 눈에 보이는 정책 효과 못지않게 심리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며 “정부가 시장에 규제를 할 때 이런 부분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정책을 마련해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민규 기자 yushin@asiae.co.kr [아시아경제] 

케이콘텐츠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