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삼성동 GBC(글로벌비즈니스센터)건립공사 또 재심의


환경영향평가, 교통영향평가 분야

연계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사업' 지연 우려


환경 교통 문제, 물고 늘어지면 한도 끝도 없어

정책적으로 추진돼야 해결 가능


전 정권에서 추진됐던 모든 사업 고의 지연도 

(케이콘텐츠 편집)


   현대차그룹의 GBC(글로벌비즈니스센터) 건립 계획이 서울시 환경영향평가와 교통영향평가에서 또다시 재심의를 받게 됐다. 착공을 위한 정비 일정이 늘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지금으로서는 105층 초고층인 탓에 협의가 필요했던 군부대와의 논의만 마무리된 상태다. GBC 완공 일정은 물론 연계 개발이 이뤄지는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사업'까지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현대차그룹 삼성동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 및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사업 조감도

출처 머니S

edited by kcontents


28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최근 강남구 영동대로 현대차부지 특별계획구역 내 GBC 신축 사업에 대해 진행된 교통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에서 각각 보완대책이 미흡하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현대차그룹이 준비한 대규모 건축물 건립에 따른 교통과 환경문제 대책이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으로 서울시는 추가 보완서가 제출되면 심의회를 열어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달 현대차 GBC 건축위원회 심의(건축ㆍ경관ㆍ사전재난 통합)에서 총 4개의 분야별 소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한 바 있다. 사업 규모가 크고 일대 영동대로 지하개발과 연계돼 세분된 검토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현대차그룹이 환경영향평가에서 재심의를 받은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환경영향평가는 연면적 10만㎡ 이상의 건축물을 지을 때 해당 건물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예측해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요소들을 제거하거나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작업이다. 공청회를 통한 주민 의견 수렴도 필수다. 


지난 6월에는 인근 봉은사가 제기하는 일조권과 조망권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재심의 판정을 받았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다. 심의에 참석한 한 위원은 "1차때 심의안과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며 "미세먼지와 지하수유출 등 미비사항을 비롯해 좀 더 구체적이고 해결 가능한 방안을 준비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봉은사에서는 GBC가 들어서면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봉은사 건물의 일조권을 침해, 건물을 훼손할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현재 봉은사 측의 주장은 건물의 높이를 낮추라는 것인데 현대차그룹으로서는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사안이다.


교통영향평가는 영동대로 지하공간 통합개발과 별개로 진행 중이다. 테헤란로와 영동대로가 만나는 지하철 2호선 삼성역 일대는 교통 정체가 심한 곳으로 GBC가 건립되고 통합개발이 이뤄진다면 교통 문제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는 외부 의견을 반영해서다.


이번에 처음 진행된 통합건축위원회 사전재난영향성검토 소위원회도 넘지 못했다. 지난주 진행한 두 심의에서 현대차그룹의 계획안은 불충분 판정을 받아 다음 심의때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정비업계에서는 환경영향평가 심의만 1년 넘게 받은 잠실 롯데월드타워를 감안할때 예정된 완공 시점을 훌쩍 넘길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롯데그룹은 2009년 3월 환경영향평가서를 제출했지만 연이은 재심의 통보로 2010년 3월에야 통과됐다.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하더라도 서울시 교통영향평가, 국토교통부 산하 수도권정비심의위원회, 서울시 건축위원회 등 건축 인허가 심의 단계를 모두 거쳐야 착공을 할 수 있다. 현대차그룹은 당초 지난해말까지 인허가를 받아 올 초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었지만 현 수준으로는 완공 예정 시점인 2020년은 사실상 힘들어 보인다. 


가장 큰 문제인 봉은사와의 합의도 장기전으로 넘어간 분위기다. 당초 일조권과 조망권 문제만 언급하던 봉은사 측에서 최근 경내 6m 거리에는 고층 건물을 지을 수 없다는 내용의 서명 운동에 나섰다. 


이렇다보니 현대차그룹 내부에서도 착공과 완공 추진 계획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택했다. GBC 건립 추진을 맡고 있는 현대건설 고위 관계자는 "서울시와 현대차그룹 등이 GBC·영동대로 지하공간 통합개발을 위한 협의를 20여차례 넘게 진행하는 등 조율에 나서고 있지만 사업 규모가 워낙에 큰 탓에 분야별 심의가 길어지고 있다"며 "이해관계까지 엮여있는 탓에 관계인 등과 꾸준한 협의를 통해 해결책을 구하는데 다각도로 접근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아시아경제]

케이콘텐츠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