션 정혜영 부부는 왜 남보다 더 행복해 보일까?

카테고리 없음|2017. 7. 13. 00:41

 

스위스와 독일 공동 연구팀

기부 천사, 

자기공명영상(fMRI),  행복감 담당 영역 더 활성화 증명


  ‘기부 천사 션과 정혜영 부부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행복할까?’

 

‘기부 천사 션과 정혜영 부부 동아일보 DB 제공

edited by kcontents


션과 정혜영 부부처럼 공공연하게 기부 천사로 불릴 정도까지는 아니라도 사람들은 이따금 각자 가능한 선에서 남을 돕는 행동을 하고 때론 돈도 지출한다. 이렇게 타인을 돕는 이타적 행동을 하는 사람이 더 행복하다는 연구가 나왔다.

 

스위스와 독일 공동 연구팀이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을 통해 타인을 위한 행동을 하거나 돈을 쓴 사람의 뇌에서 행복감을 담당하는 영역이 더 활성화된 것을 확인해 11일(현지시각)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키이션스’에 발표했다.

 

스위스 취리히대 신경경제학및사회신경과학과 필립 토들러 교수팀은 50여 명의 참가자에게 4주 동안 약 3만 원(25 스위스프랑)씩 매일 지급했다. 각 25명씩 다른 사람을 위해 돈을 쓰는 그룹과 자신을 위해 돈을 쓰는 그룹 등 두 집단으로 나눈 뒤, 뇌 영상을 찍어 비교했다.

 

연구팀은 fMRI를 이용해 남을 위해 돈을 쓰는 그룹이 선물 또는 저녁식사를 대접하는 등의 결정을 하는 상황과, 반대로 자기에게 돈을 쓰는 그룹이 결정을 내리는 상황에서 ‘혈액 산소 연계 레벨(blood oxygen level dependent, BOLD)’ 신호를 측정했다.

 

※BOLD 신호: 신진대사가 일어날 때 특정 조직의 모세혈관으로 혈액 공급이 증가하는 것을 말하며, 흔히 fMRI 후 얻은 사진에서 붉게 활성화된 부분이 신호가 큰 것으로 분석한다.

 



연구팀은 관대한 행동을 한 사람의 뇌의 ‘복측선조체(Ventral Striatum 이하 VS)’와 ‘측두엽- 두정엽 경계 영역(Temporo-Parietal Junction, 이하 TPJ)’ 사이의 신경세포가 활성화된 것을 볼 때 이들의 행복함이 더 높다고 분석했다. 과거 연구를 통해 기쁨과 만족감 같은 감정을 느낄 때, 뇌의 VS와 TPJ가 반응해 보상회로가 작동하면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고 알려져 있었다.

 

논문 제1저자인 독일 뤼벡대 심리학과 박소영 연구원은 “남을 도울수록 행복해진다는 말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번 연구가 관대함과 행복감 사이의 신경학적 연결점을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페이스북트위터네이버밴드구글플러스이메일보내기프린트하기

김진호 기자 twok@donga.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