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해상풍력, '풍황데이터' 가짜 논란



사업성 기초 근거

로우데이터 좌표 따라가니 ‘산’ 나와

산업부에 제출한 계측기 위치와 달라

사업주체 새만금해상풍력(주) 다툼 다시 불거져


   2015년 12월 전기사업허가를 받은 새만금해상풍력 개발사업의 풍황데이터에 문제가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사업성의 기초가 되는 풍황데이터가 진위 논란에 휩싸이면서 사업주체인 새만금해상풍력(주)를 둘러싼 다툼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새만금해상풍력 조감도 출처 일렉트릭파워


풍황데이터 출처 ResearchGate

edited by kcontents


새만금해상풍력(주)가 전기사업허가 신청 당시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한 풍황분석자료에 표기된 풍황계측기 위치와 PF 금융 검토보고서 작성을 위해 외부업체에 제공한 로우데이터(raw data)의 좌표값이 서로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산업부에 제출한 자료에는 풍황계측기 위치가 새만금 4호방조제 해넘이쉼터로 적혀있다. 전라북도가 2011년 설치한 풍황계측기를 적용한 것이다. 


하지만 풍황자원 분석을 위해 전문업체에 건넨 로우데이터의 좌표를 따라가면 엉뚱하게 산간지역이 나온다. 


다양한 풍황데이터를 활용해 프로젝트의 사업성을 검증한다는 측면에선 문제될 것이 없지만 해상풍력사업 분석보고서 작성에 굳이 산간지역 풍황데이터를 사용하려 한 이유는 납득하기 어렵다. 


이번 논란은 산업부에 제출한 증빙자료의 신뢰성뿐만 아니라 투자자 유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해상풍력에 왠 산간지역 데이터 

새만금해상풍력(주)는 2015년 12월 1일 전기사업허가를 받은 직후 PF 금융에 필요한 분석보고서를 만들기 위해 A업체에 로우데이터를 보냈다. A업체는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제성 분석보고서를 작성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풍황데이터 분석에 들어가기도 전에 문제점이 발견됐다. 로우데이터에 적혀있는 좌표값이 복잡지형을 가리키고 있었다. 새만금해상풍력(주)에서 제공한 풍황데이터가 산간지역에서 계측됐다는 뜻이다. 


복잡지형은 평지보다 이용률에 영향을 주는 간섭사항이 많고 복잡해 사업성 분석 시 구분해서 검토하는 게 일반적이다. 복잡지형에서 계측한 풍황데이터를 평지에 해당하는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적용할 경우 분석보고서의 신뢰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후 A업체는 제공받은 로우데이터의 문제점을 새만금해상풍력(주) 측에 설명하고 다른 데이터를 요청했다. 하지만 두 번째로 받은 로우데이터도 좌표값만 다를 뿐 상황은 마찬가지였다는 게 A업체의 설명이다. 


결국 새만금해상풍력 개발사업에 대한 전문업체의 경제성 분석보고서 작성은 아직까지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풍황계측기가 설치된 위치와 실제 건설되는 풍력단지 간의 거리가 얼마 이상 떨어지면 안 된다는 기준은 없다. 지금까지 업계 스스로 합리적이고 상식적인 수준에 맞춰 사업을 진행하고 있을 뿐이다. 


풍력사업 전문업체 한 관계자는 “복잡한 산악지형의 경우 반경 2km, 평지나 해상의 경우 반경 5km 정도를 신뢰할 수 있는 거리로 보고 있다”며 “단지규모가 커지면 풍황계측기를 2~3개 설치해 데이터 신뢰성을 높이기도 하지만 산간지역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해상풍력사업에 적용하는 사례는 들어본 적 없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업계 상황에 비춰볼 때 새만금해상풍력(주)가 산간지역 로우데이터로 4,000억원이 넘는 사업의 풍황 분석보고서를 만들려 한 부분은 더더욱 이해하기 힘들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풍황자료, 안 주나 못 주나? 

새만금해상풍력단지에 풍력시스템을 공급할 예정인 B업체는 아직까지 풍황데이터를 건네받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프로젝트 초기단계부터 풍력시스템 공급에 협력하기로 했지만 2년 가까이 지나도록 풍황데이터를 받지 못했다는 것이다. 


풍력시스템 공급업체가 설치 예정 모델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해 최적의 단지설계와 경제성을 파악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실현 가능성을 검토하는 중요한 작업이다. 그러기 위해선 반드시 풍황데이터가 필요하다. 사업자들은 보다 빠른 사업추진을 위해 가능한 신속하게 풍황데이터를 제공하는 게 보편적이다.


하지만 새만금해상풍력(주)는 B업체가 몇 차례 풍황데이터를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특별한 이유도 없이 보내주지 않고 있다. 이 같은 업무처리는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들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B업체 관계자는 “사업성 검토를 위해 새만금해상풍력(주)에 몇 차례 풍황데이터를 요청했지만 지금까지 별다른 답변이 없는 상태”라며 “뚜렷한 설명 없이 풍황자료를 주지 않아 답답한 상태”라고 밝혔다. 


보통 이쯤 되면 누구나 합리적인 의구심을 갖게 된다. ‘과연 데이터가 있기는 한 걸까.’ 


수천억원에서 수조원의 자금이 들어가는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경우 사업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 풍황데이터다. 그렇다보니 사업초기단계에 외부데이터로 사업계획을 짜더라도 본격적인 사업진행에 앞서 실제 계측기를 설치해 풍황데이터를 수집하는 게 일반적이다.


풍황데이터의 객관성이 떨어지거나 불확실성이 높으면 사업 리스크가 커져 PF 시 사업자의 금융비용 부담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풍력업계 한 관계자는 “사업초기에 계측기를 설치하지 못하더라도 PF가 확정되기 전에 계측기를 설치해 객관적인 풍황데이터를 확보하는 게 사업자에게 유리하다”며 “만일 새만금해상풍력(주)가 사업성 분석에 활용할 로우데이터를 갖고 있지 않다면 지금이라도 계측기를 설치하는 게 원활한 사업진행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새만금해상풍력(주)의 경우 4,000억원이 넘게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풍력시스템 공급업체를 통한 사업성 분석을 아직까지 시행하지 않은 것은 직무유기와 다를 바 없다”며 “최근 국내 풍력시장은 수주경쟁이 치열하다보니 공급업체에서 다양한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런 서비스를 미룬다는 것은 새만금해상풍력(주) 스스로가 무언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시인하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일렉트릭파워 박윤석 기자]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