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 두바이 2030, 제조업 성장 가속도 Mohammed launches 2030 Dubai Industrial Strategy


산업 전략 2030

항공, 해양, 알루미늄·금속 조립, 제약·의료기기, 

식음료, 산업기계 부문 지원 확대 기대 

관련 우리 기업 현지 생산라인 가동 등 

진출전략 수립 적기 

 

UAE 산업 다각화 정책의 중심 두바이

UAE는 그간 에너지 자원을 바탕으로 축척한 부를 통해 성장해왔으나 석유 생산량과 유가변동이 재정수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면서 산업구조 재편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Dubai 2030 source Elan


Mohammed launches 2030 Dubai Industrial Strategy

http://www.emirates247.com/news/government/mohammed-launches-2030-dubai-industrial-strategy-2016-06-26-1.633991

edited by kcontents


이에 대규모 공공투자와 외국인투자 유치를 통해 물류, 관광, 무역 등의 서비스 산업과 제조업의 중심지로 발돋움 하고 있음.

 

특히 두바이는 외국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제조기술과 산업기반을 확충, 제조업의 중심지로 거듭나는 등 산업 다각화 정책을 충실하게 이행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아울러 알루미늄 및 철강과 같은 에너지집약산업 중심이었던 두바이 제조업은 최근 다양한 산업군으로 확장되는 추세임.

 

 

제벨알리 지역에 위치한 알루미늄 제조시설 전경 자료원: EGA


두바이 비석유산업의 핵심, 제조업 현황

최근 3년간 두바이에서 발행된 산업면허(Industrial License)의 수는 제조업분야의 성장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음.

2014년 2793개 수준이었던 산업면허 발급 수는 2015년 3092개로 2% 증가함.


산업면허란 제조업 등의 산업활동을 위해 필수적인 라이선스로, 산업면허 획득 시 역내 원자재 수입, 제조 및 완제품 수출이 가능함.


최근 3년간 두바이 산업면허 발급 수(단위: 개)

 

자료원: 두바이상공회의소

 

2015년 제조업은 두바이 GDP의 11.1%, 고용의 15%를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금융·건축 등에 이은 제5대 산업으로 집계됨.


2015년 두바이 제조업의 GDP 기여액은 112억 달러로, 전년도 108억 달러 대비 3.5% 증가한 바 있음.


알루미늄, 철강을 포함하는 금속산업이 가장 주요한 제조업 군이며 식·음료 가공, 해양·항공 관련 제품, 플라스틱과 고무, 종이, 직물 등이 주요 활동에 이름을 올림.

 

정책기조 강화 따른 두바이 제조업 성장 가속도 기대

두바이 정부는 최근 저유가 지속으로 석유 수입에 기반한 성장전략이 한계에 달함에 따라, 산업다각화와 민간주도 성장을 독려하는 경제다변화 정책을 더욱 강화


두바이를 세계적인 지식기반 및 혁신의 도시이자 지속 가능한 산업허브가 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함.

 

이에 지난 6월, 6개의 핵심산업 중점육성을 골자로 하는 두바이 산업전략 2030(Industrial Strategy 2030)을 발표하고 제조업에 대한 대대적인 육성 계획을 역설함.


6개 핵심산업은 항공, 해양, 알루미늄·금속 조립, 제약·의료기기, 식음료, 산업기계 부문이며 중장기적 성장 가능성과 경제에 미칠 효과 등을 고려해 선정된 것으로 알려짐.


두바이 산업전략 2030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경우 두바이 제조업분야는 2030년까지 180억 디르함 상당의 수입과 2만7000여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전망임.

 

두바이 산업전략 6개 핵심 산업

자료원: 두바이 정부

 

시사점 및 전망

두바이에는 자유경제지역(Free Zone) 내 8개를 포함하는 총 18개의 산업지대가 위치해 있음. 


이는 UAE 전체 산업지대의 44%로, 산업 인프라 개선과 기업 친화적인 비즈니스 환경 정립을 위해 지난 수세기 동안 해온 두바이 정부의 노력의 결실로 볼 수 있음.

 

경제다변화 정책기조 강화에 따라 두바이 정부의 제조업 투자와 지원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이면서, 관련 외국 기업의 두바이 진출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


특히 UAE 정부 차원에서 기초 소비재 생산설비 확충, 에너지 다운스트림 고도화 등 자국산업 보호를 위한 수입규제 강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우리 기업들은 현지 생산시설 가동을 통한 진출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반면, 자유경제지역 외에 진출 시 외국인 지분을 49%로 제한하는 에이전트 제도는 진출 장애요인으로 작용


현지 파트너 선정과 수수료 지급, 계약의 해지에 이르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어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은 이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함.

자료원: BMI, 두바이상공회의소, EGA, 걸프뉴스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코트라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