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효과’ 약발 벌써 다했나?...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가격 '제자리'

 

규제완화 시행 이전 시세로 곤두박질

지난 3∼4개월간  단기 급등

 

개포동 주공1단지 전경

kcontents

 

 

‘최경환 효과’의 약발이 벌써 다한 걸까.

 

최근 서울 강남권의 주요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최경환 경제팀의 규제완화 시행 이전 시세로 가격이 곤두박질 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개포동 주공1단지 아파트의 경우 10월 이후 가격이 급락하면서 최경환 부총리의 첫 규제완화 작품인 총부채상환비율(DTI)·주택담보대출비율(LTV) 완화 이전의 7월 말 시세로 하락했다.

 

이 아파트 36㎡는 최근 급매물이 5억9500만원에 팔리며 심리적 저지선인 6억원이 무너졌다.

 

정부의 9·1대책 발표 이후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에 6억2000만∼6억3000만원까지 팔리던 것이 DTI·LTV 완화 정책 전인 7월 시세로 되돌아간 것이다.

 

42㎡ 역시 지난 9월 7억2000만원까지 팔리던 것이 현재 6억7000만원으로 5000만원이 떨어졌지만 거래가 되지 않는다.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도 마찬가지다.

 

이 아파트 112㎡는 9·1대책 발표후 11억5000만∼11억6000만원까지 올랐던 시세가 11억2000만∼11억3000만원으로 내려왔다. 이는 DTI·LTV 완화 시점인 7월 말∼8월 초 시세다.

 

119㎡도 9·1대책후 최고 13억원까지 거래됐으나 현재 12억6000만∼12억7000만원으로 떨어지며 규제완화 이전 시세로 회귀했다.

 

강동구 둔촌 주공아파트 2단지 53㎡는 지난 9월 5억9000만∼5억9500만원까지 올랐으나 최근 3000만원가량 내린 5억6200만원에 팔리며 역시 정부의 규제완화 방침 전 시세(5억6000만∼5억7000만원)까지 떨어졌다.

 

서울 강남권 재건축 가운데 최근까지 강세를 보이던 서초구 반포·잠원동 일대도 최근 들어 거래가 주춤하며 가격이 약보합세로 돌아선 모습이다.

 

재건축 아파트값이 이처럼 약세를 보이는 것은 지난 3∼4개월간 가격이 단기 급등하면서 피로감이 쌓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집값이 계속해서 오를 것이라는 확신이 없다 보니 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추격 매수세가 따라붙지 못하며 가격이 빠지는 것이다.

 

세계경제의 불확실성과 경기침체 장기화, 국내 주가 폭락 등 대내외 경제 지표가 나빠진 것도 부동산 시장에 악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제는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가 주택시장의 ‘바로미터’라는 점이다. 강남권 재건축 단지는 상당수 투자목적의 재테크 상품으로 정부 정책과 경기에 가장 먼저 민감하게 반응한다.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시장의 거래 공백과 가격 약세가 장기화하면 ‘강남권 일반아파트→강북 아파트→수도권 아파트’로 가격 하락세가 도미노처럼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재건축 추진 단지는 아니지만 9·1대책의 재건축 연한 완화의 수혜지역으로 꼽히는 목동과 상계동의 아파트도 지난달부터 가격 상승을 멈추고 거래가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비강남권의 일반 아파트 역시 10월 이후 매수 문의가 감소하고 거래도 주춤한 분위기여서 11월 이후 비수기에 접어들면 약세로 돌아설 수 있다.

경향신문 비즈앤라이프팀

 

 

 

Construction News
CONPAPE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