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옷의 역사 VIDEO: The Development Of Armor –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Warfare


The Development Of Armor –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Warfare


Early Armor 초기의 갑옷

Throughout history, soldiers have sought new ways to protect their bodies from the weapons of war. As armament technology was developed, so to did armor. As with many early technologies, it is not known when and where armor was first implemented. It is likely many different people in many different countries found ways to clothe themselves against harm.




 

갑옷의 역사


방패도 하나의 갑옷


역사를 통틀어, 군인들은 전쟁 무기로부터 그들의 몸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해왔다. 군비 기술이 개발되면서 갑옷도 개발되었다. 많은 초기 기술과 마찬가지로, 언제 어디서 갑옷이 처음 구현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많은 다른 나라와 사람들은 해코지 하는 것에 맞서 옷을 입는 방법을 발전해나갔을 것이다


갑옷은 방패와 함께 냉병기 시대의 대표적인 방어구이다. 초기에는 동물의 가죽, 질긴 천, 나무[1], 뼈 등으로 만든 일종의 증가장갑 같은 구조로 시작했다. 이후 금속을 다루는 시대가 펼쳐지면서 본격적으로 갑옷이 전성기를 이루게 되고, 총과 대포의 등장으로 잠시 주춤해지나 싶더니 현대기술을 통해 방탄복과 방검복 등으로 발전하게 된다. 그리고 SF 계열에서는 강화복이라는 이름으로 그 명맥을 이어가는 중.


다만 강화복 같은 경우는 강화복 중에서 갑옷 역할을 하는게 아닌것도 있어서 모든 강화복이 갑옷이라 하기에는 어렵다. 그래서 이 항목에는 강화복의 예시와 겹치는 부분이 있다.


동아시아에서는 주로 스케일 메일, 또는 러멜러 아머에 포함되는 철편이나 가죽 조각등을 이어 붙여 만드는 찰갑계열 갑옷이 주류였고, 유럽쪽은 초기에는 체인메일이 주류였다가 서서히 플레이트 아머화 되었다. 아랍~페르시아~인도 등지는 사슬갑옷과 찰갑의 중간형태의 갑옷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화기의 발달에 따라 서양은 갑옷의 면적을 줄이고 몸의 중요부를 집중 보호하는 큐라스 형태의 갑옷들이 만들어지다가 결국 투구와 흉갑만 남게 되었고, 동양권에서는 목면, 비단이나 종이를 두껍게 만든 갑옷들이 방탄효과를 발휘하여 사용되기도 했다.


결국 총기의 화력이 강화되면서 이런저런 갑옷들은 거의 사라졌다. 어정쩡한 갑옷 입고 총알을 맞아서 무거운 몸을 부축하고 갑옷 벗기다가 시간 다 지나서 죽어버리느니 차라리 가볍고 간편한 전투복을 걸치고 총알 맞으면 빨리 벗겨서 치료하는 게 훨씬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 하지만, 19세기 말에는 초기형태의 방탄복이 등장하기 시작했고, 제1차 세계대전 때에는 독일 등의 몇몇 나라에서 강철판으로 만든 흉갑이 돌격부대원이나 저격수에게 지급되기도 했다. 심지어 일본군의 경우는 중일전쟁 기간에 집안에 고이 모셔두었던 골동품 갑옷을 껴입고 나온 장교들도 있었다. '전통있는 사무라이 집안에 모셔져있는 골동품 갑옷'은 일본의 각종 창작물에서도 거의 클리셰 수준이다.


그 외에, 매우 극소수의 현역 병사들이 방탄복을 갑옷이라고 부르는 사례가 있다. 특히 안에 방탄용 플레이트가 들어간 물건은 진짜 찰갑 수준인지라..


방어구는 공격무기 못지 않은 전쟁터의 필요조건 중 하나이다. 페르시아 전쟁 때 그리스 군이 페르시아 군에 대해, 콩퀴스타도르 때 스페인 군이 마야, 잉카 군에 대한 압도적인 숫적 열세를 견딜 수 있었던 우월요소 중 하나가 바로 충실한 방어구였다. 칼, 창, 화살, 투창, 돌멩이 등 온갖 흉악한 물건들을 몸으로 받아가며 정면에서 눌러 오는 적군의 무시무시한 압력을 버텨야 하고 그러면서 무슨 수를 써서든 빽빽한 전열을 유지해야만 살아 남을 수 있었던 것이 근대 이전의 전쟁터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최고급 두정갑이든 싸구려 종이갑옷이든 입을 수 있는 건 최대한 입어야만 했던 것이다. 대체로 전열을 빽빽히 유지해야 하고, 화살은 물론이고 투창, 돌멩이 등의 공격을 보고도 못 피한다. 사슬과 철판 갑옷에 추가로 대형 방패를 중무장한 로마 제국군과 사실상 벗은 몸에 방패 하나 달랑 들고 싸운 켈트 전사들의[3] 전쟁을 분석해 보면 승패는 둘째치고서라도 사상자의 수에서 엄청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세

https://namu.wiki/w/%EA%B0%91%EC%98%B7


황기철 콘페이퍼 에디터 큐레이터
Ki Cheol Hwang, conpaper editor, curator


Non-metal armor rotted over time, leaving no physical remains. Later examples and illustrations, together with studies by anthropologists, point towards the possibilities. Leather was probably one of the earliest materials used for armor and remained popular down the millennia thanks to its durable and flexible nature.




Layers of cotton or other cloth provided padding against blunt attacks but could be vulnerable to sharper weapons which developed with the use of metalsmithing. Wood has even been used for armor in some places, for example by the Siberian Chukchi people.


Shields 방패

The shield was also one of the earliest developments in armor. Being carried rather than worn ha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n the downside, a shield took up a hand making it useless for troops with two-handed weapons such as long spears or bows.


On the upside, if penetrated by an arrow or spear a shield might prevent it from piercing the body. It could be moved around to protect different areas, including the face.


Shields were vital to ancient Greek infantry, who were named hoplites after their shields or hoplons.


Antique Chainmail armor, Tibet, 18th-19th Century. 




Adding Metal 갑옷의 금속화

Once people learned to work metal into weapons, they realized it could also be used for armor. One of the earliest images of armor, on the Royal Standard of Ur, shows Sumerian soldiers wearing copper helmets and leather cloaks covered with metal disks.


 

Helmets were a significant development as they offered protection to the head, a vulnerable and vital spot often hit by swinging weapons. Stitching metal onto cloth or leather did not provide reliable protection all over, but it meant there was a chance of deflecting a bladed weapon.


Warriors in partially metal armor were much less vulnerable than their opponents.


Lamellar 층판상의 갑옷

Historical re-enactment of a Sassanid-era cataphract. Photo Credit


Metal on cloth led to scale armor, in which the metal pieces overlapped each other for better coverage. The natural next step from this was lamellar. Lamellar was armor made up entirely of pieces of metal, connected with cords or wires. It could create strong and flexible results and did not require the advanced smithing which would lead to full plate armor.




The Romans primarily wore chainmail. During their heyday, many legionaries dressed in lamellar and this is the armor with which they are most associated.


Chainmail 작은 쇠사슬을 엮어 만든 갑옷


Chainmail, which existed alongside lamellar and scales armor, was invented by the Celts. Made up of thousands of interlocking rings, it was more flexible than lamellar.


It offered excellent protection against slashing weapons and when worn with padding underneath could spread the force of a severe blow. Chainmail, however, was less effective against stabbing weapons, which could pry through a gap in the links.


Chainmail spread across Europe, Africa, and Asia. It was sometimes combined with small plates of armor and was often worn with a helmet. In the slashing combat of medieval Europe, it was the best available armor for several centuries.


Plate Armor 서로 연결해 하나의 구조로 만든 갑옷

Horses and Riders in 16th-Century Plate. Photo Credit


Plate armor made from bronze existed in ancient times. The softness of bronze meant it was abandoned when iron weapons and armor came to the fore. For centuries, iron was more effective than bronze but could not be worked in large enough pieces to make plate armor.




By the fourteenth century, European smiths learned how to work iron and the tougher metal, steel. Able to offer greater protection against arrows and crossbow bolts that penetrated chain mail, plate armor became popular among the wealthy.


Entire suits of it were produced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with increasingly sophisticated joints.


The Decline of Armor 갑옷의 쇠퇴

Pikeman's Armor, About 1620. Photo Credit 


The growing power and popularity of guns gave ordinary soldiers a weapon capable of piercing even the toughest armor. As musketry became the mainstay of European armies, metal armor stopped being a viable piece of equipment for most troops.


In the 17th century, cavalry and pikemen continued to wear breastplates and helmets. By the end of the century, however, bayonets had replaced pikes, turning every infantryman into a musketeer. Armor fell by the wayside.


The Return of Helmets 헬멧의 리턴

The Loyal North Lancashire Regiment showing off their new Brodie helmets in 1916.


200 years later, the First World War saw a resurgence in armor. With trench warfare, soldiers’ heads were often the only part of the body exposed to enemy fire. Shrapnel from exploding shells, bombs, and grenades contributed to a huge number of fatal head wounds. Armies adopted a broad range of different styles of steel helmets. The German design gave excellent protection to the neck as well as the head.




Experiments with all-covering armor were undertaken. The Germans dressed many machine gunners and snipers in a steel corselet and helmet. Covering everything but the eyes, it gave them a disturbingly dehumanized appearance.


Flak and Modern Body Armor 현대의 갑옷

US Marines and French Gendarmerie in modern Body Armor. 


In World War Two, armor came full circle, with a return to flexible non-metal materials. Bomber crews, vulnerable in their large, slow planes, were given flak jackets as protection from the flying fragments of anti-aircraft shells.


By the later stages of the Korean War, the infantry was equipped with nylon vests that could stop shell fragments and pistol bullets but not shots from rifles. These continued to be used in Vietnam. By the First Iraq War, Kevlar had come into use. A light synthetic material stronger than steel, it is often combined with hard plates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modern weapons.


Armor is back in fashion and looks set to remain so for a long time.


Source:

John Keegan and Richard Holmes (1985), Soldiers.

William Weir (2006), 50 Weapons that Changed Warfare.

https://www.warhistoryonline.com/vietnam-war/secret-airline-ran-cia-cb.html



[한국의 갑옷] The Armor of Korea


한국에서 출토된 갑옷은 대부분 찰갑이나 판갑같은 금속제 갑옷이다. 목갑(나무)과 골갑(뼈) 그리고 피갑(가죽)등의 경우 사막과 같이 건조한 환경에 노출되지 않는이상 썩기 쉽기 때문에, 거기다 한국의 산성토양 문제로 인해 출토된 예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목갑.가죽갑옷등은 대체로 중국 또는 일본과 비슷한 양상을 띠었다고 보는 편이 타당하다.


삼국시대의 갑옷이 처음 알려진 것은 고구려 벽화를 통해서였으며, 고분 발굴로 한국 갑옷 연구가 본격화되었다. 연구 초창기에는 한반도에서 출토된 예가 적었고, 한반도의 갑옷 양식이 일본에서 만든 갑옷과 유사하다는 점을 들어 일본 갑옷이 한반도로 수입되었다는 견해가 일본 학자들에 의해 제시되었다. 




그러나 점차 국내에서 발굴되는 갑옷의 양이 많아지면서, 그런 견해에 대해 거꾸로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갑옷 제작 기술이 전래되었다는 견해가 제시되었고, 그것은 2010년대에 들어서 일반적으로 고고학계의 통설로 받아들여졌다. 판갑(단갑)의 경우 시대별 발전 양상을 보여주는 유물이 일본에서 더 많이 발굴되는 관계로 일본 학계에서는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발현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한국 학계에서는 제철기술의 전파 경로를 들어 이에 대해 반박하고 있다. 실제로 고대 일본에서는 철의 수입을 전적으로 백제와 가야에 의존하고 있었다. 고구려(북방)계 찰갑(괘갑)의 경우 모든 학계에서 확실하게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전파되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한반도 남부에서는 종장판이나 횡장판갑 등의 판갑(단갑)이, 고구려등 북방 지역에서는 찰갑(괘갑)이 주류를 이루었고, 고구려의 남하 이후 판갑이 찰갑으로 완전히 대체되는 양상을 띄게 된다...라는게 일반적인 의견이었지만, 2000년대 이후 신라, 가야 영역의 3세기~4세기 초 유적들에서 수결법이 적용된 찰갑 유물들이 여럿 출토되어 고구려군의 신라파견 이전부터 찰갑이 판갑과 함께 널리 쓰이다. 고구려의 신라구원군 파견 이후 종장판갑은 잘 쓰이지 않게되고, 고구려군의 영향을 받은 4~6세기형 찰갑[1]이 중장기병전술과 함께 널리 쓰이게 되었다고 보인다. 수결법으로 상하 갑찰을 연결하는 형식의 갑옷들은은 6~7세기를 지나며 부속갑과 갑찰이 간소화된 구조로 변경되어 조선시대까지 사용된다. 고려시대 이후로는 찰갑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갑편을 의복에 고정하는 의-두정형 갑옷을 입게 되었으며, 이는 한국 갑옷의 특징으로 자리잡게 된다.


https://namu.wiki/w/%ED%95%9C%EA%B5%AD%20%EA%B0%91%EC%98%B7


kcontent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