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발전소 ESS(전기저장시설) 연이어 폭발...'대형사고 전조인가'


태양광 발전소 ESS(전기저장시설) 연이어 폭발...'대형사고 전조인가' 


업계 불안감 증폭 

 국토에 벌려놓은 태양열 사업 문제는 없는지


   태양광이나 풍력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면 에너지 저장 시설, ESS에 일단 저장을 했다가 쓰게 되는데요. 신재생 발전소의 핵심시설 중 하나인 ESS 설비들이 폭발하거나 불에 타는 사고가 최근 잇따르고 있습니다. 최근 석달새 5건의 화재가 발생했는데 원인조차 몰라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 6월 15일, 전북 군산의 한 태양광발전소와 연계된 ESS 설비가 불에 탔습니다. 

거센 불길에 연쇄 폭발 위험까지 있다보니 소방관들조차 접근할 수 없고 금새 설비는 전소됐습니다. 


또 지난달 22일에는 경남 거창의 풍력발전소 ESS가 화염에 휩싸였습니다.

한 달이 멀다하고 ESS 화재 사고가 잇따르면서 관련 업계는 초긴장 상태입니다.


태양광, 풍력발전소에 변전소까지, 어느 한 곳에 국한되지 않은 ESS 설비 화재 사고는 석달 새 5차례나 발생했습니다. 


ESS는 국내 대기업들이 만든 리튬이온 배터리와 함께 전력변환장치(PCS), 운영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되는데 배터리쪽에서 발화가 시작됐을 것으로 업계는 추정하고 있습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소가 화재 원인 분석에 나섰지만 대부분 설비가 불에 타 정확한 원인을 찾는데는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문제는 제대로 된 안전기준조차 없는 상황에서 태양광이나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과 연계된 ESS 시설이 우후죽순으로 늘고 있다는 점입니다.


[하영복 건축전기설비기술사 / 에디슨전기 대표 : (ESS가)계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이쪽에선 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검증이나 설계라든가, 신뢰성 평가라든지 이런 것들이 정확히 안 이뤄진다는 거예요. ]


현재 ESS 설치 용량은 2.9GWh, 설치개소는 신재생발전소와 건물 등을 비롯해 900여곳에 이릅니다.. 

지금처럼 마구잡이식으로 규모를 가리지 않고 시설을 늘리다보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ESS업계 관계자 : 풍력이나 태양광에 (ESS를)많이 하다 보니까 (화재가)옥외에서 났지만 나중에 비상용발전기나 건물 피크저감용이 됐든 에너지분산형이든 실내로 들어오면 사고가 났을때 치명적이거든요.] 


정부는 2030년까지 현재 6%대인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20%까지 끌어올리기로 한 상황. 


ESS 화재사고가 계속 발생한다면 에너지 전환은 물론 ESS를 신산업으로 육성하려던 정부의 계획에 심각한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박경민 기자 머니투데이방송 


동영상은 수정하실 수 없습니다.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