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CEO 46%, 北 시장 진출 검토”


“건설CEO 46%, 北 시장 진출 검토”  


먹거리 생긴 건설업계는 환영

앞으로 거쳐야할 과정 험난해

가능성 미미한 현실도 직시해야


   ‘4·27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남북경협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된 가운데 건설사 CEO 절반 정도가 북한 시장에 관심있다는 2년 전 보고서가 눈길을 끌고 있다.


박용석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지난 2016년 12월 ‘건설이슈포커스-한반도 통일이 건설산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연구원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건설사 CEO의 46%가 북한 건설시장에 대한 진출을 검토 중이라고 서술했다. 


[사진=청와대]아주경제

edited by kcontents


당시 설문조사는 2015년 2월 24일부터 4월 20일까지 시공능력평가 500위 이상 종합건설기업 CEO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총 67명이 응답했다.


대다수 응답자는 유망 분야(중복답변 가능)로 ‘도로(79.1%)’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철도·전철(38.8%), 발전소·송전시설(34.3%), 도시재개발·신도시개발(31.3%) 순으로 나타났다.




건설사 CEO들은 북한 건설시장 진출 시 정부의 정책 지원이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 ‘사업 위험성 해소를 위한 지원(73.1%)’을 꼽았다. 또한 ‘원활한 건설활동 수행을 위한 3통(통행·통관·통신) 문제해결(41.8%)’, ‘사업(경제)성에 대한 정부의 지원(40.3%)’순으로 답했다.


박 연구원은 통일 이전에 북한에 대한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북한 경제를 성장시키면 향후 통일 비용을 줄이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박 연구원은 “북한 건설시장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북한의 각종 인프라 현황 파악과 개선 방안 연구, 남북한 간의 본격적인 경제협력사업이 추진될 경우 북한 당국에 인프라 건설을 적극 제안하기 위한 자료를 사전에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특히 박 연구원은 북한 건설 활동을 추진할 경우 숙련된 건설 기능인력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건설 기능인력의 체계적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기관을 설립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지난 2008년 개성공단, 금강산지구 등 북한에서 시공 경험이 있는 건설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북한 인력사용의 난항으로 ‘기능공의 완성도, 숙련도, 생산성 부재(58.3%)’란 답변이 나오기도 했다. 


박 연구원은 “북한의 노후화된 도로, 철도, 항만, 공항과 같은 교통 인프라, 농촌개발, 산업단지 개발, 주택 및 도시개발, 전력·에너지·통신시설, 수자원, 문화 및 관광 개발, 지하자원 개발 등 대규모 건설 수요가 존재하고 있다”며 “북한 지역의 각 건설 수요에 대한 본격적인 개발사업이 추진될 경우 북한 지역뿐만 아니라 한반도 전체의 경제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서지희 기자 jhsseo@etoday.co.kr 이투데이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16644#csidx3fde40985f4252cb87d54469f83f855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