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소득, 3만달러 문턱 못넘어...3년만에 3%경제 성장


국민소득, 3만달러 문턱 못넘어...3년만에 3%경제 성장


한은 ‘2016-2017 국민계정’ 발표

작년 1인당 GNI 2만9745弗 

성장률 3.1%, 설비투자 주도

저축률 36.3%…환란 후 최고


  지난해 우리경제가 설비투자 덕분에 3년만에 3%대 성장을 이뤘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불과 255달러 차이로 3만달러 진입에 또다시 실패했다.


글로벌이코노믹


edited by kcontents


올해 3만 달러 진입 유력해, 12년 만에 2만 달러대에 벗어날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6년 국민계정(확정) 및 2017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9745달러로 집계됐다.


전년대비 7.5% 늘어난 것으로, 증가율은 2011년(9.6%) 이후 6년 만에 가장 높다.


1인당 GNI는 우리나라 국민이 1년 간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을 인구로 나눈 수치로, 한 나라 국민의 평균 생활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다.


1인당 GNI 3만달러는 선진국 진입 여부를 가름하는 잣대로 여겨진다.

올해 한은 전망대로 3% 경제성장을 달성하고 원화가치 급락이 없다면 1인당 GNI 3만 달러 진입이 확실시된다.


원화 기준 1인당 GNI는 3363만6000원으로 1년 전보다 4.7% 증가했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6573달러로 전년 대비 6.8% 늘었다.




PGDI는 기업ㆍ정부 소득을 제외한 순수 가계 소득으로, 가계의 실질적 주머니 사정을 파악하는 지표다.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GNI는 3.1% 성장해 실질 국내총생산(GDP)과 동일했다.


지난해 GDP 성장률 잠정치는 3.1%로, 지난 1월에 발표한 속보치가 그대로 유지됐다.

작년 4분기 성장률(-0.2%)도 속보치와 동일했다.


2016년 성장률 확정치는 2.9%로 잠정치보다 0.1%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지난해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2.6%로 2011년(2.9%) 이후 6년 만에 가장 높았고, 설비투자는 14.6%로 2010년(22.0%) 이후 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부소비(3.4%)와 건설투자(7.6%)는 2015년 이후 2년 만에 가장 낮았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4.4%로 2011년(6.5%) 이후 6년 만에 최고치를 보였다.

건설업은 5.7%로 3.0%포인트 떨어졌지만 비교적 높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서비스업은 2.1%로 2009년(1.5%) 이후 8년 만에 가장 낮았다.

지난해 명목 GDP는 1730조4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5.4% 증가했다.


2010년 9.9% 이후 7년 만에 가장 높았다.

총저축률은 36.3%로 0.2%포인트 올랐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가 발생했던 1998년(38.0%) 이후 19년 만에 최고치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 전년 대비 5.1% 증가했지만, 최종소비지출이 4.7% 늘어나는 데 그치면서 총저축률이 상승했다.

소득이 증가하는 만큼 소비를 늘리지 못했다는 뜻이다.


총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은 가계가 4.5%에 그친 반면, 정부는 8.2% 급증했다.

기업은 3.1% 증가해 가장 낮았지만, 영업잉여를 6.7% 늘린 탓으로 분석된다.


이 때문에 노동소득분배율은 63%로 전년대비 0.3%포인트 하락했다.


이코노뉴스

edited by kcontents


가계순저축률은 7.6%로 1년 전과 동일했고, 국내총투자율은 31.2%로 2011년(32.9%) 이후 6년 만에 가장 높았다.

종합적인 물가지수인 GDP디플레이터는 전년 대비 2.3% 상승했다.


한편 정보통신산업(ICT)의 성장률은 5.7%에서 7.1%로 높아졌고, GDP대비 비중도 8%에서 9.5%로 상승했다.


ICT 부문 민간소비 증가율은 2.5%에서 2.6%로 제자리 걸음했지만, 설비투자 증가율이 4.1%에서 9.8%로 두 배이상 높아진 덕분이다.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8.7%에서 31.4%로 높아졌다.

강승연기자 spa@heraldcorp.com 헤럴드경제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