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문화 Economy, Culture/재 테 크. Money & Money

대중 부유층(Mass Affluent)이란 그리고 투자 경향 The Financial Concerns, Priorities, and Behaviors of Mass Affluent Americans

Engi- 2021. 12. 7. 18:16

 

 

대중 부유층(Mass Affluent)

소득 상위 10~30%

 

  금융계의 디지털 자산관리를 뜻하는 웰스테크가 각광받고 있다. 핀테크(금융과 정보기술의 융합) 출현 이후 생존마저 위협받던 금융권의 자산관리 업무가 디지털을 만나 새로운 플랫폼으로 거듭난 것이다. 은행과 증권사의 프라이빗뱅크(PB)를 통한 대면 서비스가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한 자산관리 서비스로 바뀌면서 부자들의 전유물이던 자산관리의 대중화가 가능해진 셈이다.

 

The Financial Concerns, Priorities, and Behaviors of Mass Affluent Americans (미국 부유층의 재정적 관심, 우선 순위 및 행동)

 

https://financialfreedomisajourney.com/the-financial-concerns-priorities-and-behaviors-of-mass-affluent-americans

edited by kcontents

 

글로벌 리서치업체인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웰스테크를 활용하는 자산관리 규모는 지난해 말 9874억달러로 1조달러(약 1130조원)에 육박한다. 이 규모는 올해 1조달러를 넘어선 후 2024년에는 2조5000억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웰스테크가 대세로 자리잡는 건 시간문제로 보인다.

 

대중 부유층(Mass Affluent)은 웰스테크의 핵심 타깃이다. 세전 가구연소득 기준 7000만원 이상, 1억2000만원 미만인 가구가 해당한다. 부유층과 중산층의 경계에 있는 준 부자 집단이다. 부자가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계층이라면 대중 부유층은 금융자산 1억원 이상~10억원 미만의 고객층을 말한다. 소득 상위 10~30%에 해당한다.

 

 

 

이들 디지털 자산관리 고객을 잡기 위한 금융기관의 상품 경쟁이 치열하다. KB국민은행의 KB마이머니, 신한은행의 쏠리치, 하나은행의 하나원큐, 우리은행의 WON 뱅킹이 각축전 양상이다.

 

부자와 대중 부유층의 돈 흐름이 이동 중이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가 6일 대중 부유층 4000명을 조사해 발표한 '2020년 대한민국 대중 부유층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의 총자산은 부동산 가격 상승과 금융자산 증가로 지난해보다 20% 가까이 늘었다. 투자자산 중 주식 비중을 크게 늘린 데 이어 앞으로도 총자산 가운데 부동산 비중은 줄이고 금융자산 비중을 늘린다는 의향을 내비췄다. 대면 서비스보다 모바일 앱을 더 선호하는 대중 부유층의 투자 향배에 금융권 디지털 혁신의 미래가 달렸다.

joo@fnnews.com 노주석 논설실장 파이낸셜뉴스

 

 

 
(Source: 
 
Recent Article
k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