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문화 Economy, Culture/해외여행 Oversea travel

이런! 일본 온천 여행객에 '당일치기' 못하게 한 이유 日本の温泉街で「夜は洗えない」という言葉が現実化している ...

Engi- 2025. 4. 7. 11:11

 

온천수 부족 현상 주된 원인 

‘오버투어리즘(과잉 관광)’

 

  외국인 관광객이 몰린 일본 온천 마을이 물 부족에 시달리자 당일치기 입욕을 막고 심야 운영까지 줄이며 고강도 제한 조치에 들어갔다.

 

7일 NHK 등에 따르면 일본 사가현의 대표 온천인 우레시노 온천의 수심은 2020년 평균 50m에서 지난해 39.6m로 줄어들며 4년 새 20% 줄었다. 홋카이도 니세코 온천 역시 2021년 이후 수심이 15m 가까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嬉野八十八(やどや)」の女湯大浴場。湧いたそのままの手を加えない源泉かけ流し 우레시노 온천 mainichikirei.jp edited by kcontents

 

日本の温泉街で「夜は洗えない」という言葉が現実化している ...

https://www.mk.co.kr/jp/world/11284161

edited by kcontents

 

 

이에 일본 지방정부는 당일치기 입욕 금지 조치를 확대하고 있다. 일부 온천 지역에서는 밤 12시부터 새벽 5시까지 심야 운영을 전격 중단하고, 성수기에는 숙박객이 아닌 외국인의 입욕 자체를 금지하고 있다.

 

일본의 온천수 부족 현상의 주된 원인으로는 ‘오버투어리즘(과잉 관광)’이 꼽힌다.

 

실제로 코로나 종식 이후 엔저 현상(엔화 가치 하락)이 나타나면서 일본 온천 마을에 관광객이 몰렸다. 일본 관광청은 지난해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숫자가 3680만명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으며, 일본 내 약 2만7000여 개에 달하는 온천 지역에 관광객들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温泉名人 edited by kcontents

 

더욱이 ‘1인 온천탕’이 늘면서 물 부족을 가속화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 CNN 방송은 “외국인 관광객들은 모두가 알몸으로 목욕하는 일본식 대중 온천 문화에 익숙하지 않아 프라이버시가 보장된 1인용 온천탕을 선호한다”며 “공용 대중탕 입장료는 약 3달러 수준이지만, 1인 전용 온천탕은 수백 달러를 받는다. 호텔들이 더 많은 이익을 위해 객실에 개별 온천탕을 설치하고 있다”고 했다.

 

이뿐 아니라 노후화된 배관 등 인프라 문제도 물 부족 현상을 심화했다. 주오온천연구소의 아키히로 오쓰카 연구원은 “많은 온천 지역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상당한 양의 물이 낭비되고 있다”며 “인프라 정비도 시급하다”고 했다.

 

일본 정부는 오버투어리즘을 억제하기 위해 입국세를 현행 1000엔에서 5000엔으로 인상하고 주요 관광지 입장료를 인상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 각 지방자치단체는 외국인 대상 숙박세를 도입하거나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현재 숙박세를 이미 도입한 지자체는 14곳이며 검토 중인 곳은 무려 43곳에 이른다.

김자아 기자 조선일보

 

日本の温泉街で「夜は洗えない」という言葉が現実化している ...

https://www.mk.co.kr/jp/world/11284161

KCONETNTS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