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아파트지구, 50여년 만 각종 규제 완화로 재건축 ‘탄력
제17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결정
동작 보라매역세권 775가구
금호벽산, 리모델링 본격화
서울 잠실아파트지구가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전환된다. 건폐율·용적률·높이 등 각종 규제가 완화돼 잠실 일대 노후 아파트 재건축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서울시는 지난 11일 제17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기존의 ‘잠실아파트지구’를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전환하는 ‘잠실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12일 밝혔다.
![](https://blog.kakaocdn.net/dn/RdffB/btsLfMiYzIL/jxttcqmuKCj70SdxVuteqK/img.jpg)
아파트지구는 1970~80년대에 대규모 아파트단지를 조성해 주택난을 해소하기 위해 지정됐다.
주택 공급 위주의 토지이용계획과 기반시설계획, 건축물 용도와 규모 계획 등 단순하고 평면적 도시관리 제도이다 보니 재건축사업(정비계획)과의 연계성 부족 등의 문제가 있어 종합적 도시관리 수단인 지구단위계획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기존 아파트지구의 주택 용지에는 주택만 건립할 수 있다. 단지 내 상가도 허용되지 않아 주상복합과 같은 현대 도시의 다양한 요구 수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지난 2022년 서울시는 반포·압구정·여의도 등 서울에 있던 14개 아파트지구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후 현대 도시관리기법인 ‘지구단위계획’ 적용을 받도록 ‘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 전환 지침’을 발표한 바 있다.
잠실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은 건축물의 용도, 밀도, 높이 등 아파트지구의 각종 규제를 완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비계획 수립이 완료된 대상지의 내용을 반영하고, 재건축 시기가 도래하는 대상지의 정비계획 수립 시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도록 특별계획구역을 지정했다.
특별계획구역 지침을 통해 지구 내 전체 아파트단지 차원에서의 체계적인 정비계획 방향을 제시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용적률·높이 등 인센티브를 유연하게 적용할 가능성이 열렸다.
![](https://blog.kakaocdn.net/dn/qLwb5/btsLgYvSZJa/ikUp1q1gI0qkV4OUt0o9Z0/img.jpg)
높이의 경우 최고 50층 이내로 완화될 전망이다.
현재 재건축을 추진 중인 송파구 신천동 ‘잠실 장미 1·2·3차 아파트’ 등이 적용받게 된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8월 잠실장미를 49층, 4800가구로 재건축하는 신속통합기획안을 확정한 바 있다.
상업 용지에 대한 규제도 완화된다.
기존 아파트지구 내 상업 기능을 담당하던 중심시설 용지는 가로활력제고를 위해 근린생활시설 및 문화·집회시설 등의 용도를 권장하고 건폐율 50%, 기준·허용용적률 250%, 상한 용적률 법적 용적률 2배 이하, 높이 32m(공개공지 설치 등 40m 완화)로 결정된다.
서울시는 향후 주민 재열람공고를 거쳐 내년 1월에 잠실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을 최종 결정·고시할 예정이다.
‘보라매역세권’에 29층 아파트, 묵동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서울시는 제17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동작구 보라매역세권 △마포구 염리동 역세권 활성화 사업 △동대문구 신설동 △중랑구 묵동 지구단위계획 결정안도 수정 가결했다.
![](https://blog.kakaocdn.net/dn/bYX02l/btsLg3DRAZ7/ZKFk4HvkNGeHKh2r9SvZak/img.jpg)
동작구 보라매역세권 사업은 지하철 7호선·신림선 보라매역 인근인 신대방동 364-190번지 일대에 지하 3층∼지상 29층 규모의 공동주택 775가구(장기전세주택 171가구 포함)를 짓는 사업이다.
또 여의대방로22나길과 여의대방로22바길을 넓히고 연결하는 작업과 노인 복지시설을 계획했다.
이날 마포구 염리동 168-9번지 역세권 활성화 사업 관련 지구단위계획구역도 결정됐다.
![](https://blog.kakaocdn.net/dn/Z1gnG/btsLijFC5rf/lH0csSw4dwt7YeAK45BEik/img.jpg)
공덕역과 경의선숲길과 가까운 이 일대에 지하 6층∼지상 24층 규모의 업무·문화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건축위원회 심의 등 인허가 절차를 거쳐 2026년 상반기 착공, 2029년 준공이 목표다.
동대문구 신설동 109-5번지 일대는 전날 회의에서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결정됐다. 대상지는 지하철 1·2호선과 우이신설 경전철이 지나는 신설동역 인근이다. 계획안에는 이 일대에 상업·업무 기능을 도입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기존 청계천 변 이면부에 적용됐던 ‘제조업 전면 불허’ 규제를 완화한다.
![](https://blog.kakaocdn.net/dn/EAyOq/btsLg0UQeoE/cKmmmnzdqu9uzqTPys3p20/img.png)
중랑구 묵동 165번지 일대의 지구단위계획은 2007년 결정 고시 이후 처음으로 재정비됐다.
특별계획가능구역 5개소를 신설해 문화시설, 복지시설 등 생활 SOC 시설을 확충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GZGGo/btsLhjGpFt8/PjWNeKdfmcaqqyZ9BHUuk0/img.png)
금호벽산아파트, 리모델링 사업 본격화
아울러 성동구 금호동1가 633번지 금호벽산아파트 리모델링을 위한 경관계획 심의안이 통과되면서 사업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금호벽산아파트는 1963가구 규모 최고 24층으로 리모델링을 추진한다.
이번 위원회에서 금호벽산아파트 지구단위계획 결정(안) 자문 및 경관계획(안) 심의를 진행해 수정동의와 원안을 가결했다.
![](https://blog.kakaocdn.net/dn/BhCkF/btsLijMolxp/1KNRskY47QXWgHPchAur9k/img.jpg)
준공 23년이 지난 이 아파트는 사업계획 승인 등 절차를 거쳐 리모델링할 예정이다. 이번 결정으로 리모델링 계획은 종전 1707가구, 용적률 219.07%, 최고 20층(64.6m)에서 1963가구, 용적률 316.2%, 최고 24층(71.4m)으로 변경된다.
성동구에서 사업계획승인 및 지구단위계획 의제 처리 후 리모델링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황순민 기자 smhwang@mk.co.kr 매일경제
케이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