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탄소 중립 달성....에너지 저장장치(ESS) 구축에 1,248조 들어가야

 

   정부 목표대로 2050년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선 태양광·풍력으로 생산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ESS) 구축에만 최대 1248조원이 필요한 것으로 탄소중립위원회 내부 검토 결과로 확인됐다. 

 

설치 면적은 여의도 최대 76배

8월 시나리오 발표땐 비공개

 

 

한국전력이 경북 경산에서 운영 중인 `경산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설. [사진 제공 = 한전] 매일경제 edited by kcontents

 

 

지난 5월 설립된 탄소중립위원회는 공무원·교수·시민단체·기업인 등으로 구성된 대통령 직속 기구다. 비록 ESS 설치에 한정된 것이긴 하지만, 정부 기관이 추산한 탄소 중립 관련 비용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탄소중립위는 지난 8월 탄소 중립 시나리오를 발표하면서 “소요 비용은 고려하지 않았다. 탄소 중립은 선택이 아닌 우리가 반드시 가야 할 길인 만큼 어떤 혁신이 필요한지를 생각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비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국민의힘 김정재 의원이 입수한 ‘탄중위 에너지분과 전문위 의견 검토’ 자료에 따르면, 교수·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전문위원들은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61.9%로 늘릴 경우 ESS 구축에 최소 787조원에서 최대 1248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이 자료는 탄소 중립 시나리오 발표 직전인 지난 7월 작성된 것이다.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날씨와 시간대에 따라 발전량이 들쭉날쭉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서는 생산한 전력을 저장했다가 꺼내 쓸 수 있는 ESS 구축이 필수다.

 

전문위는 ESS 구축에 필요한 땅이 4182만~6680만평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여의도(2.9㎢)의 48~76배에 달하는 면적이다. 이 자료에는 전문위 의견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가 “탄소중립위 시나리오는 재생에너지 잉여 전력 저장 용도만 검토한 것으로 보인다”며 “계통 안정화용 ESS도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나온다. 

 

조선비즈 edited by kcontents

 

날씨 변화에 따라 태양광·풍력 발전량이 수요를 초과하거나 반대로 갑자기 부족할 경우, 전력 계통이 불안정해져 블랙아웃(대정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ESS가 추가로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실제 ESS 설비 비용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에너지 전문가는 “정부 내부적으로 비용을 산출하고도 이를 공개하지 않은 것은 국민을 기만하는 것”이라며 “현실적이고 생산적인 탄소 중립 논의를 위해서도 비용은 공개돼야한다”고 말했다.

안준호 기자 조선일보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