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에너지 정책에 죽어나는 공기업들

脫석탄·재생에너지 확대…발전 5개사 올해 순손실 1.3조 전망


   한국전력의 5개 발전 자회사가 올해 1조3000억원 규모 당기순손실을 기록할 전망이다. 탈(脫) 석탄 가속화 추세와 전력 판매 수익 악화에 따른 영향이다. 자회사들은 공동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위기에 대응하기로 했다.


26일 한전 5개 발전 공기업(남동ㆍ남부ㆍ동서ㆍ중부ㆍ서부발전)이 각 이사회에 보고한 예산운영계획에 따르면 올해 발전사별로 2000억∼3000억 원 규모 당기순손실을 낼 것으로 분석됐다. 구체적으로 남동발전 3500억원, 중부발전 2633억원, 남부발전 2521억원, 동서발전 2460억원, 서부발전 2308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각각 기록할 전망이다.


한국경제

edited by kcontents


석탄 발전이 주력인 발전 5사가 수익성 악화를 예상한 건 정부가 석탄 발전 규제를 강화하면서다. 정부는 올해부터 ‘자발적 석탄 상한제’를 시행한다. 석탄 상한제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맞춰 잔여 석탄 발전기의 연간 석탄 발전량에 상한선을 두는 내용이다. 발전 5사는 저유가 추세에 따라 전력 도매 가격도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에 발맞춰 신재생 발전설비 투자를 늘려야 하고, 탈 석탄 추진 압박까지 받는 상황이라 발전 공기업은 당분간 적자 경영이 불가피하다. 한 발전 공기업은 이사회 보고에서 “신재생 에너지 발전량 증가로 기존 발전기의 전력 판매량 및 수익이 지속해서 감소할 것”이라며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 정책,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 등에 따른 전기판매 수익 급락과 전력시장 급변으로 회사 수익성이 지속 악화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다.

 

TF는 신재생 발전량 변동성에 대응하는 복합 발전기에 대한 보상 체계 현실화와 석탄 용량요금 개선, 연료비 원가 및 정비 비용 절감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한전 관계자는 “탈 석탄은 전 세계적으로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라며 “석탄발전소 효율화를 통한 비용 절감, 액화천연가스(LNG) 전환 확대, 사업 다각화 등 생존 전략을 짜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4월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서울환경연합 관계자들이 '석탄발전소 2030년 퇴출'을 주장하며 기자회견을 열고있다. 연합뉴스





발전 공기업의 모회사인 한전의 영업이익은 2016년 한 해 12조원을 넘겼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4조9532억원으로 줄었고, 2018년 2080억원 적자로 반전했다. 2019년엔 적자 폭이 1조2765억으로 불었다. 온기운 숭실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가 원전을 줄이고 신재생과 LNG를 늘리는 탈원전 정책을 지속할수록 발전사 손실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발전사 손실은 모회사인 한전 재무에 반영돼 결국 국민 전기료 부담으로 다가올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978580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