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플랜트사업부 인력 감소 추세...에너지 정책 때문? ㅣ "30년 후엔 석탄발전 이용률 10%대로 급감할 것"


SK건설, 플랜트인력 1881명…5년래 '최저'


해외 일감 축소 탓…친환경 신사업 중심으로 재편


   SK건설의 핵심 사업축을 담당하던 플랜트 담당 인력 규모가 갈수록 줄어 올해 5년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최근 환경폐기물 처리 업체 인수 등 사업구조 재편이 이뤄지는 가운데 코로나19로 어려워진 해외 수주 및 현장 운영이 플랜트 부문의 위상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SK건설의 플랜트 사업부는 올들어 최근 5년 중 가장 적은 수의 인력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센스뉴스

edited by kcontents


작년말 2049명이었던 플랜트 인원은 올해 6월 기준 1881명까지 떨어져 2000명의 벽도 무너진 상태다. 이는 라오스 댐 붕괴사고가 있었던 2018년 전년대비 총 346명의 인력 축소가 있었던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2016년 플랜트 인력이 2635명인 것을 고려하면 4년 반만에 754명, 비율로는 28.6%가 줄어든 것이다. 




플랜트 담당 인력이 5년 연속 축소된 것은 그만큼 수주 일감이 줄어들었다는 방증이다. 플랜트 공사 현장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SK건설의 해외 수주 잔고는 ▲2016년 6조5799억원 ▲2017년 5조4157억원 ▲2018년 5조7294억원 ▲2019년 4조502억원 ▲2020년 6월 3조7282억원으로 내리막길을 타고 있다. 해외 플랜트 수주가 줄면서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못한 유휴 인력이 짐을 싸는 수순을 되풀이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들어선 코로나19로 해외 플랜트 업황이 더욱 악화됐다. SK건설이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GS건설과 함께 건설중인 이라크 카르발라 공사 현장에서는 확진자가 속출해 셧다운(폐쇄) 조치를 취하는 등 코로나19 직격탄을 제대로 맞았다.


SK건설은 올해 상반기 사우디 초대형 PDH 플랜트 기본설계, 우즈베키스탄 국영석유가스동공사의 친환경 정유공장 설계 계약을 수주했다. 하지만 하반기 들어 플랜트 발주량이 많은 중동의 프로젝트 입찰이 취소되거나 지연되는 경우가 많아 수주에 난항을 겪고 있다.


SK건설에게 플랜트는 아직 핵심 사업축이다. 올 6월말 기준 SK건설의 총매출 중 플랜트 사업 비중은 61.4%다. 반면 건축주택 비중은 23.8%에 불과하다. 최근 분양 경기 호조로 플랜트와 토목의 수익 감소를 주택사업으로 만회했던 타 건설사들과는 사정이 다른 셈이다.




다만 SK건설은 적극적인 신사업 확대를 통해 플랜트에 쏠려있던 사업구조를 재편하고 있다. SK건설은 지난 9월 사모펀드 운용사 어펄마캐피탈로부터 환경폐기물 처리 업체 EMC홀딩스를 약 1조원에 인수 확정하며 본격적인 친환경사업 진출을 알렸다.



EMC홀딩스는 하·폐수 처리부터 폐기물 소각·매립까지 전 환경산업을 아우르는 종합 환경플랫폼 기업이다. 특히 수처리 부문에서는 국내 1위 시장점유율을 기록 중이다. 폐기물 소각·매립 부문 역시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SK건설은 EMC홀딩스 인수를 기점으로 친환경 사업분야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터널·지하공간 건설 기술력과 융합한 신개념 복합 환경처리시설 개발 등 기존 플랜트 부문과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신사업들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설명이다.


SK건설 관계자는 "플랜트 사업부문 인력이 축소된 것은 업계 특성상 프로젝트가 줄어들면서 생긴 자연스런 인력 이동"이라며 "친환경 신사업 인력을 추가로 충원할지 여부는 아직 미정"이라고 말했다.

전세진 기자 jean@paxnetnews.com [팍스넷뉴스] 




 

관련기사

삼성도 일본도 탈석탄 선언...정작 한국은?

한전, 석탄발전 투자 막는 새 법 추진으로 2천억 토해내야 할 판

https://conpaper.tistory.com/90315



[단독] "30년 후엔 석탄발전 이용률 10%대로 급감할 것" 대통령 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 전망


국민정책참여단 종합토론 거쳐 다음달 중장기 정책 제안


    반기문 위원장이 이끄는 대통령 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가 현재 70%에 이르는 석탄발전 이용률이 30년 뒤면 10%대로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확대하는 가운데 미세먼지 저감 대책 등을 통해 석탄발전소 가동률이 떨어지고 있어 30년 뒤면 사실상 국내에서 석탄 발전소가 퇴출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Steam Engine Revolution



edited by kcontents


국가기후환경회의가 최근 국민정책참여단에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70.4%였던 석탄발전 이용률은 2030년 50.6%로 낮아지고, 2040년에는 22.8%, 2050년에는 14.0%로 더 떨어질 전망이다. 지난해 5.2%였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0년 20%, 2050년 60%로 확대하고 발전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목표량을 감축한다는 정부 목표를 반영해 산정한 수치다.


기후환경회의는 이번 분석을 바탕으로 전국 500여명의 국민정책참여단이 참여하는 토론회를 열고, 최종안을 마련해 다음달 정부에 중장기 정책을 제안할 예정이다. 24~25일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되는 토론회에는 반기문 위원장과 한영수 부위원장, 6개 전문위원장을 비롯해 전국 500여명의 국민정책참여단 등 총 530여명이 참여한다.


그래픽=정다운


기후환경회의는 이번 토론을 통해 정부가 발표할 탈석탄 목표 시점을 제시할 계획이다. 기후환경회의는 국내 마지막 석탄화력발전소인 삼척2호기의 설계수명(30년)이 끝나는 2054년보다 이른 △2040년 이전 △2040년 △2045년 △2050년을 탈석탄 목표 시점으로 제시했다.




기후환경회의는 탈석탄 시점을 언제로 잡는지에 따라 발생하는 추가 비용과 환경편익도 산출했다. 석탄발전소를 조기 폐쇄하는 경우 해당 기간 만큼 석탄화력 발전소에서 생산해야 할 전력을 재생·가스·원자력 발전으로 대체하며 발생하는 연료비, 운전유지비(투자·운영비)와 계속 운전 시 기대되는 운영이익과 인건비, 피해보상비가 추가비용에 포함됐다. 반대로 화력발전소 조기폐쇄에 따라 감축되는 온실가스, 미세먼지 배출량은 환경편익으로 산정됐다.


분석에 따르면 2040년을 탈석탄 목표 시점으로 잡는 경우, 추가비용은 최대 24조원, 환경 편익은 7조원으로 평가됐고, 2050년으로 잡는 경우 추가 비용은 최대 16조원, 환경편익은 1조원으로 계산됐다. 탈석탄 목표 시점이 이를수록 추가 비용 대비 환경 편익이 높아지는 것으로, 기후환경회의의 분석에 따르면 탈석탄 목표 시점은 예상보다 앞당겨질 가능성이 큰 셈이다.

조선비즈 연선옥 기자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0/23/2020102302221.html

케이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