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체 아파트값, 작년보다 20% 가까이 올라


서울 전체 아파트값 956조5327억원, 지난해보다 18.3% 올랐다


    올해 서울 전체 아파트값이 지난해보다 20% 가까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아파트값보다 7% 이상 유동자금이 집중됐다는 분석이다.


17일 국토교통부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에게 제출한 시·도별 공동주택가격 총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공동주택 전체가격 총액은 2921조2718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국 공동주택가격 총액 2646조3549억원보다 10.4% 상승한 금액으로 2020년 국가예산(512조3000억원)의 5.7배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서울 강남구 아파트 단지의 모습. 2020.8.30/뉴스1 © News1


공동주택별로 보면 아파트가격 총액은 2614조2350억원(89.5%), 연립주택가격 총액은 71조4802억원(2.4%), 다세대주택가격 총액은 235조5565억원(8.1%)이다.




2020년 전국 아파트가격 총액은 2019년(2355조6534억원) 대비 11% 상승했다. 전국 연립주택가격총액은 2019년(67조6242억원) 대비 5.7% 상승했고, 전국 다세대주택가격 총액은 2019년(223조772억원) 대비 5.6% 상승했다.


시도별로는 서울의 공동주택가격 총액이 1111조2191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807조9593억원, 부산 169조9169억원, 인천 139조3013억원, 대구 120조1081억원 순이다. 공동주택가격 총액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로 20조9368억원이었다.


2020년 서울의 공동주택가격 총액은 전국 공동주택가격 총액의 38%를 차지했는데, 2019년 총액(952조5059억원) 대비 16.7%가 상승한 수치다.


서울 아파트가격 총액은 956조5327억원으로 전국 아파트가격 총액 대비 36.6%에 해당하는 비율이다. 2019년 총액(808조2803억원) 대비 18.3% 상승했다.





서울 연립주택가격 총액은 29조1275억원으로 전국 연립주택가격 총액 대비로는 40.7%로, 2019년 총액(27조5190억원) 대비 5.8% 상승했다.


서울 다세대주택가격 총액은 125조5588억원으로 전국 다세대주택가격 총액 대비 53.3%를 차지했다. 2019년 총액(116조7065억원) 대비로는 7.6% 상승한 수치다.


한국경제

edited by kcontents


2019년에 비해 2020년 공동주택가격 총액이 하락한 곳도 있었다. 아파트 가격 총액은 제주가 0.45% 떨어졌다. 연립주택가격 총액은 울산은 5.09%, 강원은 0.04%, 충북은 3.09%, 경북은 5.23% 하락했다.


다세대주택 가격 총액은 울산 6.12% 하락세를 보여 가장 많이 떨어졌다. 이는 신규 공급물량 과다, 지역 경기 둔화 등으로 하락한 것으로 분석된다.


17개 시도별 공동주택별 가격총액의 특성을 살펴보면, 모든 지역의 아파트가격 총액이 다른 공동주택 유형보다 월등히 높았다.





공동주택별(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가격 총액 격차가 가장 크게 난 지역은 세종으로 세종의 아파트 가격 총액(27조2159억원)은 다세대주택가격 총액(599억원)의 457배에 달했다. 신도시로 아파트 중심으로 주택이 형성된 이유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공동주택별 가격 총액 격차가 가장 적었던 지역은 제주로 제주 아파트가격 총액(12조2037억원)은 연립주택가격 총액(4조8278억원)의 2.5배 수준이다.


국민일보

edited by kcontents


한편 공동주택 중 아파트 가격 최고가는 서울 용산 한남동의 한남더힐로 65억6800만원이었고, 최저 아파트는 전남 고흥군 도화면의 뉴코아 아파트로 469만원이었다. 연립주택 최고가는 서울 서초구 서초동의 트라움하우스 5차로 69억9200만원이었고, 최저가는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의 일산주택으로 315만원이었다. 다세대 주택 최고가는 서울 강남구 청담동의 다세대주택으로 41억9200만원이었고, 최저가는 강원 영월군 영월면에 장릉레져타운으로 257만원이었다.


송석준 의원은 “전국 공동주택가격 상승 원인은 유동성 자금유입과 수요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며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및 관련 입법의 영향으로 최근 공동주택가격이 더욱 상승하고 있는데, 수요와 지역별 특성에 부응하는 주택공급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뉴스1)

케이콘텐츠



댓글()